매뉴얼의 세계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자 음악 용어 사전] Interval (음정) 음정(Interval)은 두 음 사이의 음높이의 차를 말한다. 동시에 울리는 두 음의 높이의 차를 화성적 음정(Harmonic Interval), 연속해서 울리는 두 음의 높이의 차를 선율적 음정(Melodic Interval)이라 한다. 단위는 "도(Degree)"를 사용한다. "완전 음정(Perfect Interval)", "장음정(Major Interval)", "단음정(Minor Interval)", "증음정(Augmented Interval)", "감음정(Diminished Interval)" 다섯 종류가 있다. 1. 온음계의 음정 (Diatonic Interval) 완전 음정(Perfect Interval)은 완전 1도, 완전 4도, 완전 5도, 완전 8도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Q~123) 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H~P) 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A~G) 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Serum] Xfer Serum 내가 쓰는 매뉴얼(PDF) 사실 모든 글들은 1년 반 쯤 전에, 네이버에서 짧게 블로그를 운영하던 시절에 쓰던 Serum 소개서의 내용들을 다듬은 것들이다. 글을 쓰던 중, "그냥 정리해서 PDF로 매뉴얼을 만들어버리는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내용은 PPT를 토대로 작성되었기에(!), 티스토리에서 게시글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양식이나 가독성 등을 일부 희생해야만 했다. 그래서 그냥 PDF로 묶어서 파일로 공유하고자 한다. ▼▼ SERUM 매뉴얼 립버전 1.16 버전 다운로드 ▼▼ (와! 제가 찾던 세럼 매뉴얼 립버전 1.16버전 다운로드 여기 있네요!) 총 95페이지 분량으로, 블로그에 올렸던 내용 외의 부록도 추가되어있다. [목차] #00. 시작하며... #01. Contents #02. Serum 시작하기 (블로.. [Serum] #20. Wavetable 그리기 (2) ■ FFT Area (Fast Fourier Transform) FFT는 제목에도 써 놨듯이 “Fast Fourier Transform”의 약자이다. 이는 한국어로 “빠른 푸리에 변환”인데, 이와 관련된 내용은 부록 #0A-7에서 다룰 것이므로, 여기서는 FFT Area를 어떻게 다루는지만 살펴보자. FFT Area에서, 한 칸의 연한/진한 회색 칸은 “Bin”이라 부른다(쓰레기통/통 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Bin은 “Frequency bins”와 “Phase Offset”으로 나뉜다. 각 Bin에 마우스를 올려두면 “Bin X” 와 같이 몇 번째 Bin을 선택 중인지 나타난다. 우선 Frequency bin을 살펴보자. Frequency bin은 “기본 파형(사인 파)”를 만들어낸다. .. [Serum] #19. Wavetable 그리기 (미루고 미루다가) 이번에 다뤄볼 내용은 Serum의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인 WT 편집이다. 메인 OSC의 디스플레이를 살펴보면 연필 모양의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이 창은 Table Edit, 즉 웨이브 테이블을 수정하거나 만들 수 있는 페이지이다. 사실 웨이브 테이블을 직접 ‘그릴’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을 것이다-보통은 프리셋이나 무료로 배포되는 WT를 사용하는게 훨씬 편하니까! 따라서, 여기서는 간단한 인터페이스와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며, 처리 과정(256개의 유기적인 WT를 만드는 과정)은 이 곳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 인터페이스 살펴보기 ▶ OSC A/B 어떤 OSC의 WT를 편집할지를 나타낸다. ▶ FFT Area (Fast Fourier Transform) 푸리에 변.. [Serum] #18. Global : 글로벌 페이지 마지막으로 살펴볼 페이지는 [GLOBAL]이다. 이 곳에서는 Serum의 기본 설정들을 관리할 수 있다. ■ [GLOBAL] 인터페이스 말이 인터페이스지, 사실 이 곳 설정의 절반은 작업 환경과 관련된 것이어서 대부분 건드릴 필요가 없다. ▶ Chaos 이전의 [MATRIX]에서, Sound Source로 선택할 수 있었던 옵션 중 하나였다. [Chaos]는 Serum에서 지원하는 자체적인 LFO 모양으로, 1과 2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그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면 직접 사용하면서 확인하자(Chaos 1의 경우에는 진짜 규칙을 찾기 힘들다). 그러나 “각각의 음에 대해 작용되는 Chaos는 조금씩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자. -BPM Sync : Chaos LFO를 BPM과 연동 -M..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