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추가하였다.
2. 일어 일표제어 : 여러 단어가 중복된 의미로 사용될 경우, 가장 보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를 우선시하였다. 다른 동의어는 (동) 다음에 표기하였다.
3-1. 동음다의어 : 같은 철자로 표기하지만 서로 상이한 뜻을 가질 경우, 언더바(_) 후 숫자를 덧붙여서 구별하였다.
3-2. 카테고리 : 동일한 용어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괄호( )를 통해 명확히 하였다.
4. 원어의 사용 : 한국어로 마땅히 대체할 수 없는 단어, 혹은 할 대체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5. 고유 명사의 표기 : 고유 명사는 "큰따옴표"와 기울임꼴로 구분하였다. 단, 영어로 된 고유 명사의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6. 곡(track), 또는 앨범의 표기 : 곡, 또는 앨범의 표기는 기울임꼴로 작성하되, 그 형식을 「제목, (연도)」로 통일하였다.
7. 링크 : 설명이 길어질 경우, 별도의 블로그 내 게시글을 제목 부분에 링크하였다.
8. 참고 : 글의 하단에 참고할 만한 외부 링크들을 정리하였다. 참고 사항이 있을 경우, (참고) 표시를 별도로 표기하였다.
예시)

[기타]
1. 게시글의 길이를 고려하여, 이미지는 최소한으로 첨부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2.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은 A~G, H~P, Q~Z123 세 개의 글로 쪼개었으며, 계속 추가해나갈 예정이다.
3. 편의를 위해, 다음의 요소들은 동일한 카테고리로 묶었다. (부등호가 벌려진 쪽을 취함)
EQ > Filter
[Q]
[R]
Radio Edit / 라디오 에딧
(동) Radio mix / 라디오 믹스
상업적인 판매 혹은 라디오에서의 송출 등의 목적으로, 불필요하게 긴 인트로나 아웃트로 등을 줄여 음원을 짧게 다듬은 버전. 주로 DJ들을 위한 익스텐디드 믹스(Extended mix)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1980년대부터 영국과 유럽에서 발생했던 광란의 파티. 오늘날 대형 EDM 페스티벌의 전신과도 같지만, 음성화되고 마약 등의 온갖 일탈이 자행되던 곳이기도 했다.
Rawstyle / 로우스타일
하드스타일의 하위 장르로, 인더스트리얼(Industrial)의 거친 사운드가 접목되어 분파된 장르이다.
* Hardstyle 참고
Related Key / 관계조
어떤 한 조와 깊은 관계를 가지는 다른 장조, 혹은 단조.
5도 상행의 '딸림조(Dominent Key, CM - GM)', 4도 상행의 '버금 딸림조(Sub-Dominent Key, CM - FM)', 같은 조표를 사용하는 장조와 단조의 관계인 '나란한조(Related Key, CM - Am)', 조표는 다르나 같은 으뜸음을 갖는 장조와 단조의 관계인 '같은으뜸음조 (Parallel Key, CM - Cm)',소리는 같으나 조표가 다른 '딴이름한소리조(Enharmonic Key F#M - GbM)'가 있다.
Release (ENV) / 릴리즈
키를 놓은 후, 음이 어떠한 양상으로 소멸하는지를 결정하는 부분.
[S]
Sawtooth wave / 톱니파
기준이 되는 사인 파(Sine wave)를 기준으로, 기준음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쌓아 올려 만든 소리.
톱니처럼 생겨 Sawtooth, 혹은 간단히 Saw wave라고 하며, 장르를 불문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파형들 중 하나이다.
음정을 나타내는 한 단위. 한 옥타브를 12등분한 값이다.
Sequencer / 시퀀서
음표(노트) 등을 입력하거나 연주해서 어떤 소리를 녹음, 편집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기, 혹은 소프트웨어. MIDI나 DAW로 악보, 혹은 오토메이션 데이터를 입력해서 연주할 수 있다.
Sidechain / 사이드체인
특정 악기(주로 킥)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악기들의볼륨을 일시적으로 줄여주는 기법. 컴프레서로 어떤 악기에서 특정 레벨 이상의 인풋이 있을 때, 대상 악기의 볼륨을 일시적으로 줄여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Slope (EQ) / 기울기
dB/Octave로 측정하며, 급격한 기울기를 가질 수록 필터가 이후 주파수들에 적용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1990년대 초중반에, 영국에서 뉴욕의 개러지 음악을 모방한 장르. 정글의 난폭한 분위기에 질려 떠나가기 시작한 여성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도입하였으나, 이후 정글 및 드럼 앤 베이스 곡들과 섞이기 시작하면서 브레이크 비트가 추가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하드코어 테크노의 하위 장르로, 매우 빠른 템포와 공격적인 느낌이 특징이다. 단순히 BPM이 빠른 장르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하나, 세분화하여 300~700 사이의 BPM을 가진 장르를 스피드 코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오디오 신호가 좌/우 2개 채널로 송출되는 형태.
Subgenre / 하위 장르, 서브 장르
(동) derivative forms / 분파 형태
어떤 모태가 되는 장르에, 새로운 시도나 다른 음악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장르들.
[T]
Techno / 테크노
신디사이저를 이용하여 디자인한 기계음을 중심으로, 기계음이 반복되는듯한 특징을 보이는 전자 음악.
* Speedcore 항목 참고
Terrorcore / 테러코어
220~300 사이의 BPM이 특징인 하드코어 테크노의 하위 장르
* Speedcore 항목 참고
Time signature / 박자표
(동) meter signature, metre signature, measure signature
기보법에서, 한 마디에 몇 개의 박이 들어갈지를 나타내는 표기. 예를 들어, 6/8박자는 한 마디에 8분음표가 6회 등장함을 의미한다. 속도와는 무관.
* 여기서는 초기 트랜스를 의미
1990년대 초중반에 등장한 장르로, 타 장르들보다도 엄격한 구조(인트로-브레이크다운-클라이맥스-아웃트로)로 구성되어있다.
Triad chord / 3화음
화성학에서, 근음과 3음, 5음을 쌓아 만든 가장 기초적인 화음 형태. 이 때, 3음이 근음과 장3도 관계일 경우에는 장3화음(Major triad), 단3도 관계일 경우에는 단3화음(Minor triad)라 부른다.
1997년 영국에서 등장한, 일반적인 4 on the floor 그루브의 드럼 패턴에서 벗어나 투 스텝 그루브의 드럼 패턴을 가진 장르. 이후, 더 공격적이고 어두운(Darker) 분위기의 개러지들은 그라임(Grime)과 덥스텝(Dubstep) 등으로 발전하였다.
Two step Pattern / 투 스텝 패턴
당김음이나 셋인단 음 등의 패턴으로 킥을 배치하는 것으로, 1박과 3박에 킥이 나오는 전형적인 Four on the floor 패턴보다 그루비한 드럼 패턴이다.
투 스텝 개러지, 덥스텝, DnB 장르의 전형적인 드럼 패턴이다.
[U]
UK Garage scene / UK 개러지 씬
1990년대, 영국에서 미국의 개러지 하우스(NY Garage House)를 수입한 후 이를 당시 유행에 맞게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장르들 전반을 아우른다. 스피드 개러지(Speed Garage), 투스텝(Two step), 그라임(Grime), 덥스텝(Dubstep), 포스트 개러지(Post Garage), UK 베이스 씬 (UK Bass Scene) 등으로 발전하였다.
해피 하드코어 장르에서, 2000년대 이후 시장성을 추구하여 멜로딕함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한 하드코어의 한 분파. 다만, 해피 하드코어와 UK 하드코어의 명확한 구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HappyHardcore 참고
Unison / 유니즌
Unison_1. 하나의 음을 연주할 때, 같은 음을 여러 개의 악기가 동시에 연주하거나 서로 다른 옥타브대에서 동시에 연주하는 것.
Unison_2. 주로 신시사이저에서, 어떤 음을 연주할 때, 피치가 조금씩 상이한 여러 개의 음들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
[V]
Vocal Mix / 보컬 믹스
어떤 곡에 보컬이 포함된 경우. 반대의 경우를 인스트루멘탈(Instrumental)이라 한다.
Vocal Trance / 보컬 트랜스
유포릭 트랜스(Euphoric Trance)에 주로 여성 보컬이 포함된 트랜스의 하위 장르.
VST / 가상악기
'Virtual Studio Technology'의 약자로, 전자 음악 편집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 이펙트 등의 플러그인 형식의 표준이다.
VST는 VST2 버전들과 VST3 이후 버전들이 존재하는데, VST3이 더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발전된 버전이므로, 별 사유가 없다면 VST3의 사용이 권장된다.
[W]
[XYZ]
[123]
1451 progression / 1451 진행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진행의 한 종류로, I - IV - V - I 의 순서로 코드가 진행된다.
대표적으로, C - F - G - C 진행이 있다.
7th Chord / 세븐스 코드, 7화음
3화음(Triad)에 7도 음을 추가하여 만들어진 코드.
'매뉴얼의 세계 > 전자 음악 용어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음악 용어 사전] Compressor (컴프레서) (0) | 2022.01.31 |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Circle of Fifths (5도권), Camelot key (카멜롯 키) (0) | 2022.01.29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Interval (음정) (0) | 2022.01.27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H~P) (0) | 2022.01.20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A~G)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