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전자 음악 용어 매뉴얼

[전자 음악 용어 사전] Interval (음정)

728x90

음정(Interval)두 음 사이의 음높이의 차를 말한다.

 

동시에 울리는 두 음의 높이의 차를 화성적 음정(Harmonic Interval),

연속해서 울리는 두 음의 높이의 차를 선율적 음정(Melodic Interval)이라 한다.

 

단위는 "도(Degree)"를 사용한다.

 

"완전 음정(Perfect Interval)", "장음정(Major Interval)", "단음정(Minor Interval)",

"증음정(Augmented Interval)", "감음정(Diminished Interval)" 다섯 종류가 있다.


1. 온음계의 음정 (Diatonic Interval)

 

완전 음정(Perfect Interval)은 

완전 1도, 완전 4도, 완전 5도, 완전 8도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이 링크를 참고하길 바람)

사진_1. 순서대로 완전 1도, 완전 4도, 완전 5도, 완전 8도 관계

완전 음정에서는 두 음정이 1:1, 2:3, 또는 1:2의 주파수 비를 가지며,

완전 4도는 반음 1개와 온음 2개로 구성되어있고

완전 5도는 반음 1개와 온음 3개로 구성되어있다.

 

장음정(Major Interval)은 완전 음정을 제외한 2도, 3도, 6도, 7도에서 단음정보다 폭이 넓은 관계들이다.

바꿔 말하면, 같은 음정에서 반음을 최소로 가지는 음정 관계이다.

 

예컨대, 의 관계에서는 반음 없이 온음만 2개 존재하므로 장3도,

사이에는 온음 4개와 반음 1개만 존재하므로 장6도 이다.

사진_2. 체크 표시 된 부분이 반음 관계이다.

이와는 반대로, 장음정에서 반음이 하나 추가되어 폭이 장음정보다 좁은 것들을 단음정(Minor Interval)이라 한다.

예컨대, 의 관계는 사이에 반음이 끼어있으므로 단2도,

높은 도의 관계는 사이에 반음이 2개 끼어있으므로 단6도이다.

 

4도와 5도 중, 다른 완전 4도와 완전 5도보다 반음을 한 개 더 갖거나 덜 갖는 경우가 있다.

사진_3. 온음계에서의 증4도

대부분의 완전 4도는 반음 1개와 온음 2개로 이루어져있으나,

파와 시의 사이에는 온음만 3개 있는데, 이를 증4도라 한다.

 

사진_4. 온음계에서의 감5도

대부분의 완전 5도는 반음 1개와 온음 3개로 이루어져있으나,

높은 파 사이에는 반음이 2개 있는데, 이를 감5도라 한다.

 

온음계에서, 주파수 비율에 따라 동시에 연주되었을 때 아름다운 음색을 갖는 음정 관계가 존재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_1. 온음계의 음정


2. 반음계의 음정 (Chromatic Interval)

오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반음계에서는 변화표(Accidentals)가 포함된 음에 따라 음정이 정해진다.

사진_5. 반음계의 음정

(+) 방향으로 갈 수록 올림표(#)가 붙고, (-) 방향으로 갈 수록 내림표(♭)가 붙는다.


[ 기타 사항 ]

 

완전 1도는 유니즌이라고 부른다.

단2도와 장2도는 각각 반음(Semitone), 온음(Whole-tone)이라 부른다.

증4도와 감5도의 실제 음 간격은 동일하다. 

완전 8도의 관계는 옥타브(Octave)이다.


(자료 및 이미지 출처, 참고 사항)

 

위키백과 - 음정

유지선, 실용음악 화성학(Popular Music Harmonics), SRMUSIC, 20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