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뉴얼의 세계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SYTRUS] #11. Operator / 오퍼레이터 (4) : Articulation Section - Modulation Target ◆ Articulation Section 모든 OP들은 “Articulation Section”이라는 모듈을 가지고 있다. 이 곳에서는 소리의 패닝(PAN), 볼륨(VOL), 피치(Pitch) 등의 Modulation Target들을 ENV, LFO 등의 Modulation Sources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Articulation에서 변화시키는 값은 절대적인 값이 아니라 상대적인 값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단위도 대부분 “%” 단위를 쓰게 된다. 예를 들어, Articulation Section에서 변화시킨 VOL 값이 50%일 때, 해당 OP의 실제 볼륨의 크기는 기본값인 [OP] – [Misc Settings] – [VOL]의 50%가 된다. ■ Modulation Tar.. [SYTRUS] #10. Operator / 오퍼레이터 (3) : Misc settings ■ Misc Settings 이 곳에서는 OP의 기본 음정과 기타 설정들을 다루게 된다. > Frequency Offset / 좌측, Default = 0.00Hz - 연주되는 음정으로부터 몇 Hz의 차이를 둘 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5 Hz로 설정할 경우, A4(440 Hz)가 연주될 때 실제로는 450.05 Hz로 연주되게 된다. - -9999.99~9999.99 Hz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연주하고자 하는 음역대 + offset의 값이 가청 주파수 범위(20~20,000Hz)를 벗어나게 되면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귀에 들리지 않는 초고주파수의 음이 연주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 Frequency Ratio (Multiplier) / 우측, Def.. [SYTRUS] #09. Operator / 오퍼레이터 (2) : Shaping Section ◆ Shaping Section Shaping Section은 해당 OP의 형태를 보면서 다듬는 부분이다. 이 곳에서 사용자가 만든 OP Shape는 소리를 만들 뿐만 아니라, 추후 다른 OP를 변조시키는데 사용될 핵심적인 재료가 된다. ■ Shape Preview Window 이 곳에서 설정된 OP Shape의 형태를 볼 수 있다. 또한, Sytrus에는 Shape Preview Window 바로 밑에 HALF, EVEN, ABS 세 가지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 Shape Modifier OP Shape의 형태를 조작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이번 단락에서 소개할 [Shape Modifier]를 이용하는 방법과 [Articulation Section]의 [OSC]에서 bin값을 설정하여 직접 .. [SYTRUS] #08. Operator / 오퍼레이터 (1) : 개요 ◆ The Operator FM 신디사이저에서는 OSC(Oscillator)를 ‘Operator’라고 부른다. OSC는 단순히 발진기(소리 생성기)이지만, Operator는 서로 다른 오퍼레이터를 변조(modulate)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Sytrus에서는 6개의 Operator(이하 OP)를 지원하며, 각각의 OP들은 FM방식, 혹은 RM방식으로 서로 합성될 수 있다. FM이니 RM이니 하는 복잡한 문제들은 차치하고, 우선은 각 OP 모듈들을 살펴보자. 만들어진 소리는 모듈 하단의 ‘Articulation Section’에서 적용될 양상을 설정할 수 있다. Sytrus에서는 Articulation Section에서 정의된 적용 양상을 통칭 Envelope (이하 ENV)로 부르고 있다. [SYTRUS] #07. Main Module / 메인 모듈 (6) : Misc Settings & Info ■ Misc Settings 여기서는 기타 Global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 Random - 모든 모듈에 약간의 무작위성을 부여한다. 무작위성은 약간의 부정확함을 만들어내므로, 보다 자연스러운 소리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 > MONO Key - 이전에 연주되던 음이 다시 한번 연주될 때, 그 즉시 이전 음의 Release 를 생략한다. 특히 긴 Release time을 가질 때, CPU 절약에 도움이 된다. MONO Key 설정으로 인해 유니즌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 Soften - Velocity가 디폴트 값보다 낮을 경우, 약간의 어택을 준다. 우측으로 돌리면 이 효과가 최대가 되며, 좌측으로 돌릴 경우 이 효과를 적용하지 않는다. > Global Pitch - OP1의 Pitch.. [SYTRUS] #06. Main Module / 메인 모듈 (5) : Quality Settings & OverSampling ■ Quality Settings EQ 바로 옆에는 전반적인 퀄리티와 기타 설정값들이 있다. Quality는 작업 중 실시간으로 적용할 Draft(real-time), 곡을 렌더링 할 때 적용할 Render로 나누어진다. > HQ Envelopes - 플러그인에서 사용될 ENV들이 더 정확하게 적용된다. 실제로는 아주 미세한 차이이기에, 사진처럼 렌더링 때만 적용되게 설정해주어도 무관하다. > Oversampling - 오버 샘플링을 허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리를 얻어내는 것을 허용하는 항목이다. 단, 실시간으로 많은 오버 샘플링을 허용할 경우 CPU 소모량이 높아질 수 있으며, 권장 사항은 렌더 시에만 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어려운 내용임에 비해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냥.. [SYTRUS] #05. Main Module / 메인 모듈 (4) : Equalizer ■ Equalizer (EQ) Sytrus에서는 Global EQ로 3-band Equalizer를 제공한다. EQ 파트는 크게 Scheme Selection(적용 범위)와 Band Setting(밴드 세팅)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Global EQ가 적용될 시그널(Signal)을 선택할 수 있다. Sytrus는 만들어지는 최종 소리(Output)와 FX 모듈을 지나는 소리를 구분하여 EQ를 적용할 수 있다. > OFF - 아무 곳에도 EQ를 적용하지 않는다. > OUT + FX - FX 모듈을 통과한 소리와 일반 아웃풋 시그널에 적용된다. > OUT - 일반 아웃풋 시그널에만 적용된다. > FX - FX 모듈을 통과한 시그널에만 적용된다. > Frequency (FREQ) - 각 밴드의 Frequen.. [SYTRUS] #04. Main Module / 메인 모듈 (3) : Modulation (X/Y Controller), Unison ■ Modulation (X/Y Controller) 몇몇 플러그인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남겨두기도 한다. Sytrus의 경우에는 수직/수평 방향의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를 두었고, 각각 X, Y라고 이름 붙였을 뿐이다. 이 모듈의 정확한 명칭은 ‘X/Y Controller’이며, 많은 프리셋의 경우에는 모듈레이터 바로 아래의 텍스트 박스에 "X값이 증가하면 ~~가 어떻게 됩니다"라는 설명을 달아준다. X, Y 파라미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링크(link)’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X 파라미터에 볼륨을 링크한다면 X 파라미터에 비례하게 볼륨이 증가하게 된다. 당연히 X MOD에 여러 개의 파라미터가 링크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 및 사용법은 이후에 다루겠다. * ..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