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추가하였다.
2. 일어 일표제어 : 여러 단어가 중복된 의미로 사용될 경우, 가장 보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를 우선시하였다. 다른 동의어는 (동) 다음에 표기하였다.
3-1. 동음다의어 : 같은 철자로 표기하지만 서로 상이한 뜻을 가질 경우, 언더바(_) 후 숫자를 덧붙여서 구별하였다.
3-2. 카테고리 : 동일한 용어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괄호( )를 통해 명확히 하였다.
4. 원어의 사용 : 한국어로 마땅히 대체할 수 없는 단어, 혹은 할 대체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5. 고유 명사의 표기 : 고유 명사는 "큰따옴표"와 기울임꼴로 구분하였다. 단, 영어로 된 고유 명사의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6. 곡(track), 또는 앨범의 표기 : 곡, 또는 앨범의 표기는 기울임꼴로 작성하되, 그 형식을 「제목, (연도)」로 통일하였다.
7. 링크 : 설명이 길어질 경우, 별도의 블로그 내 게시글을 제목 부분에 링크하였다.
8. 참고 : 글의 하단에 참고할 만한 외부 링크들을 정리하였다. 참고 사항이 있을 경우, (참고) 표시를 별도로 표기하였다.
예시)
[기타]
1. 게시글의 길이를 고려하여, 이미지는 최소한으로 첨부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2.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은 A~G, H~P, Q~Z123 세 개의 글로 쪼개었으며, 계속 추가해나갈 예정이다.
3. 편의를 위해, 다음의 요소들은 동일한 카테고리로 묶었다. (부등호가 벌려진 쪽을 취함)
EQ > Filter
[H]
(동) Happycore / 해피코어, 4-beat / 4-비트, HHC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Breakbeat Hardcore)가 분파된 1993년 등장한 하드코어 테크노의 하위 장르. 밝은 샘플과 익살스러운 보컬, 리버스 베이스가 특징이며, 1997년 이후로는 하드 트랜스의 영향을 받아 멜로딕한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동) Hardcore / 하드코어
(참고)극도로 왜곡시킨 테크노의 킥 드럼과 공격적인 사운드가 특징인 장르. 1990년, "Mescalinum United"의 「We Have Arrived, (1990)」가 시초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네덜란드에서 "개버(Gabber)"라는 장르로 발전하였다.
Hardstlye / 하드스타일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EDM의 한 장르로, 하드코어 테크노와 하드 트랜스의 영향을 받아 탄생하였다. 일반적인 하드코어 곡 보다 느리면서, 리버스 베이스와 하모닉 킥 드럼의 사용, 멜로딕한 선율이 두드러지는 장르이다.
(동) Key Mixing / 키 믹싱
두 개 이상의 곡을 연결할 때, 곡의 조성(Key)를 고려하는 기법. 선곡의 대상은 5도권(관계조, 버금딸림 혹은 딸림조의 것)이 고려되며, 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숫자와 알파벳으로 조성을 정리한 것을 카멜롯 키(Camelot key), 이를 5도권 표에 대입한 것을 카멜롯 휠(Camelot wheel)이라 한다.
* Camelot Key 참고
Hearing Range / 가청 주파수, 가청 범위
(동) Audible range
사람이나 어떤 동물이 귀로 듣고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대. 인간의 가청 범위는 20Hz~20,000Hz (20kHz)이다.
가수 "Donna Summer"의 싱글 앨범 「I feel Love, (1977)」에서 유래된 장르. 드럼을 제외한 모든 악기가 신시사이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후 이탈로 디스코(Italo Disco),유로 비트(Eurobeat) 등으로 발전하거나 하우스(House), 테크노(Techno) 음악에 영향을 주는 등 EDM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House music / 하우스 음악
EDM 장르에서 큰 축을 차지하고 있는 장르로, 수 십~수 백가지의 하위 장르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Hypertone / 하이퍼톤
BPM이 수 천~수 만에 이르는 하드코어의 하위 장르.
Hz / 헤르츠
1초 동안 진동한 횟수를 나타내는 SI의 주파수 단위계.
오늘날, 대부분의 경우에 A4는 440Hz로 맞춰져 있다.
[I]
ID
Identification, 혹은 Identify is unknown을 의미한다. 주로 미정의 트랙 이름을 표기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아티스트들을 칭할 때 사용한다.
Input Signal / 인풋, 입력 신호
주로 믹싱에서, 어떤 FX 플러그인 등에 전송되는 처리 전의 신호를 의미한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출력 신호(Output)가 있다.
Instrumental Mix / 인스트루멘탈 믹스
본래 보컬이 있는 곡에서, 보컬이 제거된 버전의 곡.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컬 믹스(Vocal Mix)가 있다.
서로 같거나 다른 두 음이 가지는 높이의 차이. 단위는 '도(Degree)'이다.
[J]
[K]
Key / 키, 조성
어떤 음악에서, 음악에 쓰이는 화성이나 멜로디가 하나의 음 또는 하나의 화음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음악관계를 가지고 있을 경우를 말한다. 즉, 곡의 진행에 있어 어떤 음, 혹은 화음이 중심이 되어 음악 전반에 지배적인 영향을 행사하는지에 따라 조성이 결정된다.
[L]
Level / 레벨, 음량
악기 소리 따위가 크거나 작게 울리는 정도.
Limiter / 리미터
컴프레서(Compressor)의 한 종류로, 기존의 컴프레서보다 더 강하게 스레숄드를 넘어간 음량을 줄여준다. 보통 레시오(ratio)가 10:1 이상인 컴프레서들을 리미터라 부른다.
Limiting / 리미팅
강력한 컴프레션의 일종으로, 리미터(Limiter) 등을 이용하여 음량이 지정된 스레숄드(Threshold)를 초과하지 않도록 압축하는 기법.
[M]
Mainstream Hardcore / 메인스트림 하드코어
2000년대 초반, 개버(Gabber)의 약진과 함께 기존의 하드코어 테크노가 발전한 형태. 이전의 하드코어들보다 더 빠르고, 묵직해지고, 강렬해진 사운드가 특징이다.
Major Key / 장조
장음계를 사용한 조성으로, 일반적으로 명랑하고 밝은 느낌을 준다. 다 장조(C Major)의 으뜸화음은 도-미-솔이다.
Melodic Dubstep / 멜로딕 덥스텝
기존의 덥스텝에 코드 진행과 감성적인 멜로디가 추가된 장르.
Metronome / 메트로놈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소리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박자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오늘날에는 주로 BPM을 측정하기 위해 각종 작곡 프로그램에 내장되어있다.
MIDI Note / 미디 노트
미디(Midi) 작곡에서, 기존 보표(Staff)에서의 음표(Note)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 노트에는 연주할 악기의 채널 정보, 연주 시기와 길이, 음정(Pitch), 벨로시티(Velocity) 값 등을 포함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Minor Key / 단조
단음계를 사용한 조성으로, 일반적으로 어둡고 우울한 느낌을 가진다. 다 단조(C minor)의 으뜸화음은 도-미♭-솔이다.
Mix cut / 믹스 컷
주로 DJ들의 플레이 세트에서 발췌한 곡의 일부분. 이전/이후 곡들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위해 때에 따라 편집되고 잘린 버전이다.
Mixing / 믹싱
(동) Mixdown (믹스다운)
여러 개의 개별 음원(track)들을 하나 이상의 채널로 합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통 EQ, 컴프레션, 딜레이, 리버브 등의 여러 음향학적 효과를 부여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Mono / 모노
사운드가 단일 사운드로서 하나의 채널에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스테레오(Stereo)와 달리 좌-우의 구분이 없으며, 음원을 다룰 때 100 Hz 미만의 소리는 모노로 출력되게끔 하는 것이 권장된다.
Multiband Compressor / 멀티밴드 컴프레서
기존의 컴프레서가 모든 음역대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면, 멀티밴드 컴프레서는 저음역대(Low), 중간 음역대(Mid), 고음역대(Hight)에 개별적인 컴프레션을 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러그인 및 장치이다.
[N]
Noise / 노이즈, 소음
본래는 불규칙한 파동으로, 오디오 신호의 수신 및 청취를 방해하는 소리를 의미하나, 다수의 신시사이저들은 악기에 무작위성과 자연스러움을 부여하기 위해 노이즈 컨트롤러 기능 등을 제공한다.
Noise Gate / 노이즈 게이트
컴프레션에서, 스레숄드 미만의 소리를 제거하거나 감쇠시킬 때 사용하는 설정.
Notation / 기보법
약속된 기호와 방법 등을 토대로, 음악을 가시적으로 표기하는 방법.
Note / 음표
주로 보표(Staff) 위에 작성하여, 소리의 높이와 연주 시간 등을 표기하는 약속된 기호이다.
1980년, 뉴욕의 "Paradise Garage Nightclub"에서 기인한 음악 장르이다. 소울, R&B, 재즈 등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시기의 다른 장르들보다는 비교적 정제된 느낌을 주며, 대부분의 경우에 여성 보컬이 등장한다.
[O]
Octave / 옥타브
주파수가 두 배 차이가 나는 두 음 사이의 음정이다. 12 음계는 이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누어 구별한다.
2옥타브 라 = A4 = 440 Hz, 3옥타브 라 = A5 = 880Hz
Original Mix / 오리지널 믹스
가장 처음으로 릴리즈(release)된 오리지널 버전의 곡.
Oscillator / 오실레이터
줄여서 OSC라고도 하며, 반복적인 시간 변화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회로이다. 전자 음악에서는 여러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신시사이저를 의미한다.
Output signal / 아웃풋, 출력 신호
프로세싱(Processing)을 거친 이후,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소리 신호. 반대되는 개념으로 입력 신호(Input)이 있다.
[P]
Paralle Key / 나란한 조
같은 으뜸음을 갖는 장조와 단조의 관계. CM - Cm의 관계
* 관계조 (Related Key) 참고
Parameter / 파라미터, 매개변수
주로 플러그인에서, 악기의 소리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계수. 효과를 입히거나 음을 변조시키는 정도를 의미한다.
Percussion / 퍼커션, 타악기
Percussion_1. 손이나 채, 서로를 부딪혀서 소리를 내는 악기. 막을 치고 그 진동에 의해서 소리를 내는 막명악기(Membranophone, 북/탬버린/장구)와 체명악기(idiophone, 막명악기가 아닌 나머지 타악기들)로 분류한다.
Percussion_2. 드럼 머신 등에서, 드럼의 기본적인 요소를 제외한 기타 악기들을 지칭할 때 사용.
온음계/반음계에서, 같이 울렸을 때 그 울림이 가장 아름다운 두 음정 사이의 관계. 도와 솔의 관계가 대표적이다.
* 음정(Interval) 항목 참조
Phase / 위상
많은 파동은 한 주기마다 같은 모양을 반복하며 진행하므로, 이를 회전하는 원운동에 대응시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위상이라 한다. 이 때, 한 주기의 시작점과 끝점을 각각 0도와 360도로 정하는데, 이를 '위상각'이라 한다.
* 물리적으로 보면 그렇다는 얘기고, (노이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리는 가장 작은 단위인 '웨이브테이블(Wavetable)'의 반복으로 합성되게 된다. 이 때, 그 가장 작은 단위(=주기)를 페이즈라 부른다.
Phase Cancellation / 페이즈 캔슬레이션, 위상 상쇄 현상
(참고) 서로 다른 두 신호에서, 한 쪽의 위상과 다른 쪽의 반전된 위상이 서로의 소리를 약화시키거나 상쇄시켜버리는 현상. 두 개 이상의 가상악기가 연주되거나 스테레오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음역대의 소리가 빈약해져 악기의 소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itch / 피치
음의 높낮이. 어떤 음원을 빠르게 재생하면 흔히 말하는 '졸라맨 소리'처럼 되는데, 이를 Up-Pitched 되었다고 표현한다. 마스터 건반이나 신시사이저에서는 별도의 피치 밴드(Pitch bend)를 두어, 시시각각 피치를 변조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경우가 많다.
Plugin / 플러그인
작곡 프로그램(DAW)에서, 소리를 만들거나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들. DAW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내장 플러그인과, DAW 개발사나 다른 개발사에서 별도로 만든 외장 플러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Preset / 프리셋
가상악기 등에서, 사용자나 개발자가 빠른 사용을 위해 미리 저장해 둔 세팅.
Pulse / 펄스파
비정현파(사인 형태가 아닌 파형)의 일종으로,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듀티 사이클이 50%인 펄스파를 '사각파(Pulse wave)'로 지칭하기도 한다.
(Hardcore Techno) https://coldhearted-sirius-alpha-22.tistory.com/41
(Phase Cancellation) https://producelikeapro.com/blog/phase-cancellation/
'매뉴얼의 세계 > 전자 음악 용어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음악 용어 사전] Compressor (컴프레서) (0) | 2022.01.31 |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Circle of Fifths (5도권), Camelot key (카멜롯 키) (0) | 2022.01.29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Interval (음정) (0) | 2022.01.27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Q~123) (0) | 2022.01.20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A~G)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