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혹한 음악의 세계/[번역] Ishkur's Guide to EDM (88) 썸네일형 리스트형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Freeland Breaks (프리랜드 브레이크)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Also dook-dook-chak, dook-dook-chakScene / Period Breakbeat / 2000년대 초반 누 스쿨 브레이크(Nu Skool Breaks)는 전적으로 Adam Freeland의 잘못이다. 하지만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필자조차 모르는 이름의 어떤 장르를 만들었으니 이를 기려 "Freeland breaks"라고 부르겠다. 프리랜드 브레이크는 마이크로 장르이지만, 그냥 지나치기에는 꽤 재밌는 장르이다. 2000년대 중반, 브레이크 씬은 티어아웃(Tearout) 같은 이..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Nu Skool Breaks (누 스쿨 브레이크)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Also Tearout Breaks, Nu Breaks, NuSkool Breaks, Nu Skool Breakbeat, Nu-Nu-Nu-Nu-Nu-Nu-Nu-Nu Skool Breakbeat bwa bwa bwa bwaScene / Period Breakbeat / 90년대 후반 누 스쿨 브레이크(Nu Skool Breaks)는 빅 비트(Big beat)가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이끈 결과물이다. 빅 비트는 너무 상업적이고, 고무적이고, 축제 같았고, 성공적이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춤추고 소리치고 메탈..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Progressive Breaks (프로그레시브 브레이크)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Atmospheric Breaks, Balearic Breaks, Deep Progressive Breaks, Ambient Breaks, Intelligent Breaks, Breaktrance, Vocal Progressive Breaks Scene / Period Breakbeat / 90년대 후반 모든 씬에는, 자신들이 진지하고 예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듯이, 섬세하고 성숙한 면모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비트 씬에선 프로그레시브 브레이크(Progressive Breaks)가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Big Beat (빅 비트)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Block Rockin' Beats Scene / Period Breakbeat / 90년대 중반 Chemical Breaks가 미국의 것이라면, Big Beat는 대부분 영국적인 것이었다. 빅 비트(Big beat)는 브레이크(Breaks)의 가장 상업적인 장르이지만, 그렇다고 제일 최악인 것은 아니다(누 스쿨(Nu Skool)이 있으니). 전설에 따르면 이 장르는 Big Beat Boutique라는 클럽에서 이름을 얻었다고 하는데, 그 클럽의 무명 DJ였던 Fatboy Slim이 주로 이런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Chemical Breaks (케미컬 브레이크)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Acid breaks Scene / Period Breakbeat / 90년대 초 케미컬 브레이크(Chemical Breaks)는 브레이크(Breaks)가 Breaks 씬으로 발전되기 전에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지 케미컬 브레이크, 심지어 그냥 브레이크라고 부르지 않았을 뿐이다. 초창기의 브레이크는 애시드 하우스(Acid house)에서 애시드(Acid)에 808 킥 루프 대신에 옛날 드럼 브레이크 샘플을 얹거나, 기존 애시드 하우스의 리믹스 버전이었다 (혹은, 때때로 Meat Beat..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Speedcore (스피드코어)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Splittercore, Flashcore, Extratone, Speedbass Scene / Period Hardcore / 90년대 후반 스피드코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빠른 하드코어이다. 이 장르들의 이름을 일일이 구별하는 건 너무 복잡한 일이다. 하드코어는 일반적으로 약 180 bpm 정도로 이미 충분히 빠르며, 스피드코어는 당연히 훨씬 더 빨라야 한다. 이에 대한 범위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트랙은 300 bpm 안팎을 맴돈다. 하지만 트랙은 더 빨라질 수도 있고,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UK Hardcore (UK 하드코어)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Power Stomp Scene / Period Hardcore / 2000년대 초반 UK 하드코어는 기본적으로 유로트랜스의 빠른 버전이다. 여기까지 오게 된 일련의 과정이 있다. '해피 하드코어(Happy Hardcore)'는 대부분 독일, 네덜란드,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프리폼(Freeform)'은 대부분 네덜란드와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독일은 미니멀 테크(Minimal Tech)를 만들기 위해 이탈했다). 그리고 이 UK 하드코어는 거의 독점적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네덜란드는 하드스타..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Freeform (프리폼) 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Trancecore, Acidcore Scene / Period Hardcore / 1990년대 후반 프리폼(Freeform)은 해피 하드코어(Happy Hardcore)와 UK Hardcore 사이에 위치한 장르이다. Freeform Jazz와 혼동하지 말 것. 그 당시, 아무도 이걸 뭐라고 불러야 할지 정말 몰랐기 때문에 '프리폼'이라고 불렸다. 일부 프로듀서들(사실 같은 놈들이지만)은 꼬맹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이전까지의 사랑스러운 노래 멜로디와 유아스러운 느낌 때문에 해피 하드코어에 질려..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