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http://music.ishkur.com/#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Also
Gospel House, Diva House, Italo Dance
Scene / Period
House/ 80년대 후반
벨기에에서 랩랩한 랩 하우스를 만드는 동안, 이탈리아에서는 피아피아노한 피아노 하우스를 만들고 있었다.
이탈로 하우스(Italo House)는 두 번째로 대중적인 하우스 장르로, Black Box - Ride On Time과 2년 후의 Right Said Fred - I'm Too Sexy의 히트와 함께 흥행하였다.
피아노와 하우스의 조합은 마치 치즈 커드와 소고기 그레이비 조합과 같다. 시카고에서는 정신없는 피아노 Fill을 만들어냈을지는 몰라도, 이탈리아에서는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다.
당연히 실제 피아노는 아니었다. 여기서 그 누구도 진짜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피아노"와 함께하는 전자 음악 장르들은 Korg M1 신시사이저와 함께 폭발적으로 등장했다 (브레이크 비트 하드코어(Oldskool Rave Hardcore), UK 하우스 (UK House), 해피 하드코어(Happy Hardcore),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Progessive House), 발레아릭/드림 트랜스(Balearic/Dream Trance), 앤섬 하우스(Anthem House) 그리고 유로 하우스(Euro House) 등, 90년대 초반 장르에는 모두 피아노 Fill이 등장한다).

1988년 발매된 Korg M은 DX7에서 만들어지는 신시사이저신시사이저 느낌의 조악한 피아노가 아닌,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첫 번째 신시사이저였다. 그 비결은 소리의 디지털적인 재생산이 아닌, 실제 악기들의 풍부한 샘플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마치 가짜 과당의 쓰레기 시럽이 아니라, 실제 사탕수수로부터 채취한 진짜 설탕이 포함된 콜라 같달까. 멕시코에서는 아직도 진짜 설탕을 쓰는 것 같긴 하지만. 멕시코 콜라는 한 번쯤 꼭 먹어보시기 바란다. 소다도 나쁘지 않고 ㅇㅇ
이탈로 하우스는 상업적인 성공을 위한 완벽한 레시피를 갖고 있었다 : 귀에 달라붙는 훅과, 맛있는 909 킥, Korg M1의 업리프팅되는 피아노 라인, 그리고 당연히 디바(diva)도 있다 (실제로 고용하거나 Loleatta Holloway - Love Sensation을 샘플링하거나).
그저 그런 디바가 아닌, 여러분 바로 앞에서, 손가락과 머리를 흔들며 진짜-신이-느껴지십니까? 같은 고스펠(gospel) 디바는 종교적 각성과도 같았다. 얼마나 강했냐면, 여기서 디바에 집중된 고스펠/디바 하우스라는 하위 장르가 파생될 정도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이탈로 하우스는 고스펠 하우스이다.
이탈로 하우스는 심지어 마돈나도 Vogue에 사용할 정도로 이탈로 하우스는 거대했다 - 사실 게이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차용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니긴 하다. 이건 마돈나의 전형적인 방식이다 : (주로 게이들의) 언더그라운드 신을 돌아다니면서 음악적인 아이디어를 가져와서, 마구잡이로 사용하고, 싸고 얕은 팝 버전으로 팔아치워서 상업적으로 한 탕 땡겨왔다. 그녀는 킹크(kink)/페티시(fetish) 씬으로부터 Erotica를, 유로 트랜스 씬으로부터 Ray of Light를, 프렌치 하우스 씬으로부터 Music을, 일렉트로 하우스 씬으로부터 Confessions on a Dancefloor를 같은 방식으로 만들었다.

마돈나의 잘 알려진 이 공식은 Lady Gaga, Katy Perry, Britney Spears 등의 다른 아티스트들도 사용할 정도로 잘 알려져 있다. 주류는 보통 언더그라운드 씬보다 5년 정도 뒤처져있으며, 아티스트들 역시 언더그라운드의 요소들을 대중들의 입맛에 맞는 싱거운 음악만을 만들어낸다. 뭐 어찌 되었든 ㅁㄴㅇㄹ
클래식한 이탈로 하우스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 (적어도 필자가 알기에는 그렇다). 제작자들은 피아노가 1995년 이후 사라질 무렵부터 유로댄스(Eurodance), 유로하우스(Eurohouse), 개러지(Garage), 디스코 하우스(Disco House)로 떠났다.
하지만 가난하지만 꺾이지 않는 마음을 가진 흑인 여자 가수가, 관중들 앞에서 손가락을 뻗으며 노래를 부르는 것이 모두에게 사랑받고 있으므로, 고스펠 하우스는 언제나 존재할 것이다.
[장르의 계보] << 클릭하면 이동
'냉혹한 음악의 세계 > [번역] Ishkur's Guide to ED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French House (프렌치 하우스) (1) | 2024.02.26 |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Hard House (하드 하우스) (0) | 2024.02.23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Disco House (디스코 하우스) (1) | 2024.02.19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World House (하우스) (1) | 2024.02.15 |
[번역] Ishkur의 EDM 가이드 - Schranz (슈란츠) (0)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