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도권(Circle of Fifths)는 서로 완전 5도 관계에 있는 조성들을 나타낸 표이며,
카멜롯 휠(Camelot Wheel)은 5도권에 기반하여 DJ들의 하모닉 믹스를 도와주는 지표이다.
오늘날의 5도권과 유사한 개념을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가 창립했다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왜냐하면 피타고라스는 기준음으로부터 완전 5도 관계에 있는 음정들로만 이루어진
소위 '피타고라스 음계'를 주장했으나, 이는 오늘날의 반음계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1670년대, 작곡가이자 음향학자인 니콜라이 딜레스키(Nikolai Diletsky)는
러시아 대중들에게 서양 화성 음악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작곡법을 소개하는 책인 "Grammatika"를 저술했다.
5도권은 이 책에서 처음 등장하였고, 이후 학생들의 교육 자료로 사용되었다.

5도권에서, 어떤 조성의 오른쪽(시계 방향)에 위치한 대상은 자신으로부터 완전 5도 상행 관계에 있는 조성고,
왼쪽(반시계 방향)에 위치한 대상은 자신으로부터 완전 4도 하행 관계에 있는 조성이다.
또한 바깥쪽 조성은 대응하는 안쪽 조성과 서로 나란한 조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C Major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G Major은 완전 5도 상행 관계의 조이고,
왼쪽의 F Major은 완전 4도 하행 관계의 조이며, 안쪽의 a Minor와는 나란한 조 관계이다.
카멜롯 키(Camelot Key)는 DJ들의 하모닉 믹스를 도와주는 지표로,
A-Flat Minor를 1A로, B Major을 1B로 정한 후 숫자와 문자로 나머지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5도권에 대입하여 나타낸 그림은 아래와 같은데, 이를 카멜롯 휠(Camelot Wheel)이라 한다.

1960년대 이후, 디스코와 나이트 클럽의 성공에 이어 DJ들의 블렌드 믹싱이 중요해진 시대가 되었다.
DJ들은 서로 다른 두 곡을 연결할 때 가급적 어울리는 곡들을 매칭해야했고,
그들이 이론적인 근거로 삼았던 것이 앞서 살펴보았던 5도권 룰이었다.
작곡, 사운드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디제잉 등에 특화된 Pyramid에서 소개하는
하모닉 믹스(Harmonic Mix)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대각선 방향(2A to 3B) << 권장
2. +/- 1칸은 6개의 음을 공유하는 스케일의 관계이다. << 권장
3. +/- 2칸은 5개의 음을 공유하는 스케일의 관계이다. << 권장
4. +/- 3칸은 4개의 음을 공유하는 스케일의 관계이다. << 보통
5. +/- 7칸 (C to C#)은 반음 하나의 차이지만, 3개의 음만을 공유한다. << 권장X
물론 이는 절대적인 법칙이 아니며, DJ가 직접 여러 믹싱을 시도해보고 결정할 사항이다.
예를 들어, 7칸의 차이가 나더라도 어울리는 곡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순전히 귀가 결정할 사항이지 다른 음악 이론이 간섭할 영역이 아니라는 점이다.
참고 자료 및 사진 출처
사진_1. https://en.wikipedia.org/wiki/Circle_of_fifths#Jazz_and_popular_music
사진_2. https://pyramind.com/harmonic-mixing-using-camelot-system-mixed-in-key/
'매뉴얼의 세계 > 전자 음악 용어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음악 용어 사전] 음정의 단위 : Semitone & Cent (세미톤, 센트) (0) | 2022.02.04 |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Compressor (컴프레서) (0) | 2022.01.31 |
[전자 음악 용어 사전] Interval (음정) (0) | 2022.01.27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Q~123) (0) | 2022.01.20 |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H~P)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