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전자 음악 용어 매뉴얼

[Encyclopedia] #CONTENTS. 전자 음악 용어 사전 (A~G)

728x90

우선 인정하고 시작하자. 최근에는 그 입지가 올라섰다고는 하지만, EDM은 아직까지 '언더그라운드' 문화이다.

따라서 몇몇 장르만을 파고 드는 분들이 아니라면, 전반적으로 EDM의 넓은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매체나 글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라고 모든 것을 엄청 정확하고 장황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야심차게 준비해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다. 물론 말이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이지, 실제로는 EDM 뿐 아니라 디제잉, 믹싱, 음악과 음향학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과 단체에 대한 내용은 가급적 다루지 않았다.

 

[표기]

1. 배열 : 모든 용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ABC순으로 배열하였다(Alphabetical order). 단, '/' 이하 한국어 표기도 추가하였다.

2. 일어 일표제어 : 여러 단어가 중복된 의미로 사용될 경우, 가장 보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를 우선시하였다. 다른 동의어는 (동) 다음에 표기하였다.

3-1. 동음다의어 : 같은 철자로 표기하지만 서로 상이한 뜻을 가질 경우, 언더바(_) 후 숫자를 덧붙여서 구별하였다.

3-2. 카테고리 : 동일한 용어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괄호( )를 통해 명확히 하였다.

4. 원어의 사용 : 한국어로 마땅히 대체할 수 없는 단어, 혹은 할 대체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5. 고유 명사의 표기 : 고유 명사는 "큰따옴표"와 기울임꼴로 구분하였다. 단, 영어로 된 고유 명사의 경우에는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6. 곡(track), 또는 앨범의 표기 : 곡, 또는 앨범의 표기는 기울임꼴로 작성하되, 그 형식을 「제목, (연도)」로 통일하였다.

7. 링크 : 설명이 길어질 경우, 별도의 블로그 내 게시글을 제목 부분에 링크하였다.

8. 참고 : 글의 하단에 참고할 만한 외부 링크들을 정리하였다. 참고 사항이 있을 경우, (참고) 표시를 별도로 표기하였다.

 

예시)

[기타]

1. 게시글의 길이를 고려하여, 이미지는 최소한으로 첨부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2. 본 전자 음악 용어 사전은 A~G, H~P, Q~Z123 세 개의 글로 쪼개었으며, 계속 추가해나갈 예정이다.

3. 편의를 위해, 다음의 요소들은 동일한 카테고리로 묶었다. (부등호가 벌려진 쪽을 취함)

EQ > Filter

 


[A]

 

Accidentals / 변화표

악곡 전체에 걸쳐 영향을 주는 조표, 해당 마디 등에서만 임시로 사용되는 임시표로 구분된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5개의 변화표는 다음과 같다 :  샵(#, Sharp, 올림표), 플랫(♭, flat, 내림표), 내추럴(♮, Natural, 제자리표), 더블 샵 (𝄪, Double sharp, 겹올림표), 더블 플랫 (𝄫, Double flat, 겹내림표)

 

Acid House / 애시드 하우스

1987년, 시카고에서 등장한 하우스(House)의 하위 장르. TB-303을 이용한 'Squelchy' 한 소리가 특징이며, EDM 장르들 중 처음으로 특정 장르의 이름이 사용된 "Acid House Party"가 개최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ADSR Envelope / ADSR 엔벨로프

'Attack, Decay, Sustain, Release' 네 가지 지표를 이용하는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

 

Amen Break / 아멘 브레이크

 소울 그룹 "Winstons"가 발표한 「Amen, Brother, (1969)」의 드럼 브레이크(Drum Break) 부분이다. 이 부분은 역사상 가장 많이 샘플링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브레이크 비트 장르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Attack (ENV) / 어택

ADSR 엔벨로프에서, 대상이 음이 연주된 시점부터 피크까지 증가하는 양상. 

 

Audio Clip / 오디오 클립

미디어 클립(Media Clip)의 일종으로, 녹음된 소리 자료, 샘플 등을 의미한다.

 

[B]

Bar / 바, 마디

악곡의 단위로, 한 마디는 박자표(Time signature)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진다. 예컨대, 4/4박자에서는 한 마디가 4분음표 4번의 길이를 갖는다.

 

Bass / 베이스

Bass_1. 어떤 곡에서 주로 저음역대를 연주하는 악기. 더블 베이스(Contrabass), 베이스 기타(Bass Guitar)등의 실제 악기부터 그로울 베이스(Growl Bass), 리즈 베이스(Reese Bass)등의 가상 악기를 모두 칭한다.

Bass_2. 음역대에서 낮은 부분. 즉, 저주파수 영역대

Bass_3. 성악에서, 남성의 가장 낮은 음역대.

 

Bassdrum / 베이스 드럼

(동) Kick drum / 킥 드럼 

Bassdrum_1. 오케스트라 등에서 사용되는 타악기로, 크기와 재질에 따라 음정(Pitch)와 느낌이 달라진다.

Bassdrum_2. 드럼에서 페달을 발로 밟아 연주하는 부분. 흔히 드럼 킷(Drum kits)에서 '킥 드럼(Kick drum)'이라 부른다.

 

Bass Music / 베이스 음악

1980년대 이후, EDM 혹은 힙합 음악들 중에서 베이스 드럼과 베이스 라인이 중심을 이루는 장르들을 지칭하는 단어.

덥스텝(Dubstep), 드럼 앤 베이스(Drum and Bass), 퓨처 베이스 (Futurebass), 트랩(Trap) 등의 장르가 이에 속한다.

 

Bassline / 베이스라인

(동) Bass part / 베이스 파트

음악에서 베이스 악기가 연주하는 파트, 혹은 루프

 

Beat / 비트, 박

음악의 기본 단위이자 리듬의 최소 단위.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강조되는 시간적 단위이며, 드럼 및 북 등의 타악기가 곡의 박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Beat Matching / 비트 매칭

 디제잉에서, 서로 다른 두 곡의 드럼 부분을 일치시키는 것. 서로 상이한 속도를 가질 경우에는, 피치 밴드 등을 이용해 BPM을 일치시킨 후 매칭한다.

 

Bleep Techno / 블립 테크노

(동) UK Techno / UK 테크노

1980년대 후반, 영국에서 디트로이트 테크노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장르로, 잠시 등장했다가 사라졌다.

 

Boost (EQ) / 부스트

이퀄라이저 등을 이용해, 특정 주파수 영역대를 강조하는 것.

반대되는 기법을 '컷 (Cut)' 이라 한다.

 

Bootleg / 부틀렉

Bootleg_1. 가수나 레이블 등에서 내놓은 정식 버전이 아닌 음원

Bootleg_2. 아티스트들의 라이브 공연 및 퍼포먼스를 개인이 비공식적으로 녹음/녹화한 것. 

Bootleg_3. 원작자의 명시적인 허락 없이 음악을 편곡하는 것.

 

Bootlegging / 부틀레깅

부틀렉(Bootleg) 된 음악 등을 유통하는 것. 

 

BPM / 비피엠

'Beat Per Minute'의 약자로, 음악의 빠르기를 '분 당 드럼 비트 수'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킥드럼이 측정의 기준이 된다.

 

BPM Sync / 비피엠 싱크

디제잉에서, 속도가 서로 다른 두 트랙의 속도를 자동으로 맞추거나 비트 매칭을 도와주는 기능.

 

Breakbeat / 브레이크비트

1960년대 이후, 힙합 씬 등지에서 발생한 장르 및 기법. 밴드의 드럼 솔로 파트 부분을 계속 반복시키는 방법으로 시작되었다.

 

Breakbeat Hardcore /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

(동) Hardcore Rave / 하드코어 레이브

1990~2년까지 등장했던 레이브 음악의 일종으로, 당시에 존재하던 온갖 인기있던 장르들의 짬뽕과도 같은 장르. 1993년을 전후로 해피 하드코어(Happy Hardcore), 정글(Jungle), 다크 코어(Darkcore)로 분파되었다.

 

Bypass / 바이패스

믹싱이나 디제잉 등에서, 악기나 트랙에 입혀진 이펙트(효과)를 일시적으로 적용시키지 않는 것.

 

 

[C]

 

Camelot Key / 카멜롯 키

5도권(Circle of fifth)을 기초로 하여, DJ들의 원활한 하모닉 믹스(Harmonic Mix)를 도와주는 지표.

각 장/단조 키(Key)들에 1A, 4B 등으로 이름을 부여한다. 예컨대 1A에서 2A, 1B, 12A의 조성을 가진 트랙으로 믹싱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Camelot Wheel / 카멜롯 휠

카멜롯 키를 5도권의 표에 대입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하모닉 믹스를 보조해주는 자료.

* Circle of Fifth 항목 참고

Camelot Wheel

 

Chicago House / 시카고 하우스

(동) Warehouse Music / 웨어하우스 음악, Early House / 초기 하우스, Jackin' house / 잭킹 하우스

1970년대 말, 시카고의 "Warehouse" 클럽에서 사용하던 음악들. R&B, 유럽 디스코(Euro Disco), 소울(Sou), 재즈(Jazz) 등, 당대의 인기있던 트랙들을 4-on-the-floor 그루브에 맞춰 편집한 것이 시초이다.

 

Chord / 코드, 화음

높이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려 만들어내는 합성음이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트라이어드(Triad, 3화음)에서는 근음(Root)과 그 위로 3도씩 쌓아올린 3음(3rd), 5음(5th)로 구성되며, 그 위로 7음(7th),9음(nine), 텐션 노트(Tension Note), 4음(4th) 등을 쌓아 다양한 화음을 만들 수 있다.

 

Circle of Fifh / 5도권

12음계에서, 각 음정간의 관계와 그에 상응하는 조표, 장/단조의 기하학적인 표현이다.

어떤 조성의 우측에는 해당 조성으로부터 완전 5도 상행 관계의 조성이, 좌측에는 완전 4도 하행 관계의 조성이 위치하여 있으며, 바깥쪽 조표와 안쪽 조표는 관계조 관계이다.

Circle of Fifths

 

Clipping / 클립핑

음폭이 헤드룸(Headroom)을 벗어나, 사각파 형태로 찌그러지면서 왜곡되는 현상. 

클립핑을 방지하기 위해 리미터(Limiter), 컴프레서(Compressor) 등의 장치를 사용하며,

역으로 킥 드럼 등을 과도하게 왜곡시킨 하드코어 테크노(Hardcore Techno)와 같은 장르도 있다.

 

Click / 클릭, 클릭음

어떤 소리가 올바른 소리(Tone)으로 인식되기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을 타임 스레숄드(Time threshold)라 하는데, 소리의 길이가 이보다 짧을 때 인식되는 소리. 주로 클릭음이라 한다.

 

Compression / 컴프레션

악기나 트랙의 볼륨을 일정하게 맞춰주기 위해 음량을 '압축'하는 프로세스.

스레숄드(Threshold)를 초과하는 음량을 Ratio의 비율만큼 감쇠시키는 하향식 컴프레션(Downward Compression)과,

반대의 원리로 작은 음량을 키우는 상향식 컴프레션(Upward Compression)이 있다.

* Compressor 항목 참고

 

Compressor / 컴프레서

컴프레싱(Compressing)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음폭을 방지하여, 음의 왜곡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Cut (EQ) / 컷

이퀄라이저 등을 이용해, 특정 주파수 영역대를 감쇠시키는 것.

반대되는 기법을 '부스트 (boost)' 라 한다.

 

Cutoff / 컷오프

특정 주파수(컷오프 프리퀀시, Cutoff Frequency) 이전이나 이후 주파수 영역대를 감쇠시키는 기법.

 

[D]

 

DAW 

'Digital Audio Workstation'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녹음, 편집, 제작하기 위한 전자 기기 혹은 소프트웨어이다.

 

Decibel / 데시벨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dB로 표기한다. 10dB이 증가할 때 마다, 기존보다 소리의 세기가 10배 증가함을 의미한다.

 

Deep House / 딥하우스

1985년 이후 등장한 하우스의 하위 장르로, 시카고의 DJ들에 의해 발전하였다. 기존의 하우스 음악들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추구한다.

 

Detroit Techno / 디트로이트 테크노

1980년대 중반 디트로이트에서 시작된 초기 테크노로, 영국의 레이브 씬과 맞물려 수많은 하위 장르들을 만들어냈다.

 

Disco / 디스코

1970년대에, 기존의 주류 문화에서 배척된 외국계 미국인, 흑인, 소수자 등이 필라델피아와 뉴욕 등지에서 발전시킨 언더그라운드 음악. 1970년대 말 까지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1979년 발생한 "디스코 폭파의 밤(Disco Demolition Night)" 사건 이후 미국에서 인기가 사그라진다.

 

Disco Demolition Night / 디스코 폭파의 밤

1979년 7월 12일, 시카고에서 발생한 안티 디스코 사건. 디스코에 위협을 느낀 기존의 락 팬들이 야구장에서 일으킨 소란으로, 이 사건 이후 하우스, 개러지, 테크노 음악이 탄생하였다.

 

DJ / 디제이

(동) Deejay / 디제이

DJ_1. 'Disc Jockey'의 약자로, 라디오나 방송 등에서 음악을 선곡하는 라디오 DJ, 클럽이나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하는 클럽 DJ, 공/사적인 자리에서 음악과 무대 등을 보조하는 모바일 DJ, 힙합에서 MC 뒤에서 반주를 재생하는 힙합 DJ 등이 있다.

 클럽 DJ의 경우, 주로 두 곡 이상의 음악을 매끄럽게 섞거나(Mix) 연결시켜(blend) 위화감 없이 여러 곡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하거나, 미리 준비해둔 효과음이나 기술 등을 이용해 청취자들의 음악의 경험을 극대화시킨다.

DJ_2.(참고) 사운드 시스템(sound system)에서, 관객들의 호응을 유도하며 곡을 토스팅(toasting)하는 사람.

 

Dominent Key /  딸림조

어떤 조와, 그로부터 완전 5도 상행한 조 사이의 관계. 예컨대 다 장조(C Major)의 딸림조는 사 장조(G Major), 바 단조(F minor) 딸림조는 다 단조(C minor)이다. 이 때, 역으로 사 장조의 버금 따림조(Sub-Dominent Key)는 다 장조, 다 단조의 버금 딸림조는 바 단조이다. 5도권에서는 시계 방향에 위치한 조성이 해당 음과 딸림조 관계에 있다.

 

Drum Fill / 드럼 필

반복적인 드럼 패턴의 단순한 구조에 변화를 주기 위해, 드럼 루프 마지막에 추가해주는 변칙적인 드럼 패턴. 

 

Drum Machine / 드럼 머신

가상 악기의 일부로, 처음에는 드럼의 소리를 모방함으로써 시작되었으나, 이후에는 실제 드럼의 소리를 이용한 샘플러 방식의 드럼 머신이 개발되었다.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드럼 패턴을 설정한 다음, 무한 반복할 수 있다.

 

Dub Music / 덥 음악

1960년대 이후, 자메이카에서 등장한 기법. 원곡의 인스트루멘탈(Instrumental)에 공간계 효과를 깊게 묻힌 후, 현장에서 DJ가 혼자 혹은 관객들과 보컬을 얹는 방식으로 공연된다.

 

Dubstep / 덥스텝

2000년대 초반, 남부 런던 지역의 "FWD>>" 클럽과 해적 방송 등을 통해 등장한 장르. 초기의 UK 덥스텝과, 스크릴렉스 이후의 US 덥스텝으로 나눌 수 있다.

 

[E]

 

EDM / 이디엠

(동) Dance Music / 댄스 뮤직, Club Music / 클럽 음악

'Electronic Dance Music'의 약자로, 주로 클럽, 페스티벌, 파티 등에서 사용되는 음악 장르들을 일컫는 개념이다. 이전까지는 클럽, 레이브, 페스티벌, 해적 방송 등을 통해서 유통되던 언더그라운드 컬쳐였으나, 2010년대 초기에 EDM이라는 용어의 등장과 함께 주류 문화로 자리잡았다.

 

Electronic Music / 전자 음악

신디사이저 등의 전자 기기를 이용해 소리를 합성, 변조시켜 만드는 현대 음악. 주로 파티에서 사용되는 EDM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한다.

 

Envelope / 엔벨로프

소리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변화'의 종류에는 볼륨, 필터의 적용 정도, 피치의 변화 등 다양한 대상이 해당하며, 신시사이저 등에서 이러한 엔벨로프를 만들 때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ADSR 엔벨로프이다.

 

Euphoric Trance / 유포릭 트랜스

(동) Uplifting Trance, Melodic Trance, Dutch Trance, Anthem Trance, Emotional Trance, Energetic Trance

 트랜스의 장르 중, 밝고 감성적인 멜로디가 주가 되는 하위 장르.

 

Extended Mix / 익스텐디드 믹스

 DJ들의 원활한 비트 매칭 등을 위해, 인트로 부분과 아웃트로 부분을 확장한 버전.

 

Extratone / 엑스트라톤

 BPM이 1,000 이상을 넘어가는 하드코어의 하위 장르.

* Speedcore 항목 참조

[F]

 

Four on the Floor / 포 온 더 플로어

(동) Four to the floor / 포 투더 플로어

 4분의 4박자로 구성된 곡에서, 베이스 드럼이 매 박자 균일한 악센트로 연주되는 드럼 패턴.

 

Frenchcore / 프렌치 코어

199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발생한 하드코어 테크노의 하위 장르. 기존 하드코어 테크노보다 빠른 200 BPM의 속도가 특징이며, 하드스타일(Hardstyle)의 영향을 받아 감성적인 측면을 추구하는 장르를 Euphoric Frenchcore로 구분한다.

 

Frequency / 프리퀀시, 진동수

(참고) 1초 동안 진동한 횟수로, 단위는 Hz(헤르츠)를 쓴다. 소리는 결국 공기의 진동이므로, 공기의 초 당 진동 횟수를 알면 다음의 공식을 통해 음정(note)를 알아낼 수 있다.

 

[G]

 

Gain / 게인

음량을 증가/감소시키는 장치, 혹은 기법. 대부분의 VST나 이펙터에서는 사운드 디자인 이후, 그 과정에서 발생한 음량 손실을 보완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이펙터에서, 장치로 보내지는 소리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인풋 게인(Input Gain), 프로세싱 이후 최종적으로 출력될 소리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아웃풋 게인(Output Gain)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Grime / 그라임

2000년대 초반, 영국에서 등장한 장르. UK 개러지의 특성을 물려받았으며, LFO를 사용한 워블 베이스가 처음으로 전면에 등장한 것이 특징이다.

 

Groove / 그루브

단순하게는 음악의 리듬을 의미하지만, 그러나 주로 그 리듬이 가진 '감각'이나 매력적인 '느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참고 :

 

(DJ_2) https://en.wikipedia.org/wiki/Dub_music#Jamaican_Sound_System

(Frequency) https://coldhearted-sirius-alpha-22.tistory.com/5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