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Sytrus : 내가 쓰는 매뉴얼

[SYTRUS] #14. Operator / 오퍼레이터 (7) : Articulation Section - Modulation Source [KEY, VEL, MOD, RAND, UNI]

728x90

Modulation Source

 

> KEY M, VEL M

  - 두 항목은 각각 악기의 음정악기의 벨로시티(Velocity) 에 연관된다. 피아노의 경우, 낮은 음(왼쪽 건반)을 연주할 때에는 악기의 왼쪽 부분에서 더 큰 소리가 나고, 높은 음(오른쪽 건반)을 연주할 때에는 악기의 오른쪽 부분에서 더 큰 소리가 난다. [KEY M]은 이런 효과를 구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연주된 음에 따라 회색 세로선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모듈레이션 타겟은 높은 음을 연주할 때에는 더욱 오른쪽에 위치한 값을, 낮은 음을 연주할 때에는 더욱 왼쪽에 위치한 값을 읽게 된다.

 위의 예시에서는, 왼쪽의 경우 오른쪽보다 더욱 작은 VOL 값을 갖게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벨로시티(Velocity)MIDI에서 악기가 연주되는 세기, 악기의 다이나믹(Dynamic)을 지칭한다. 보통 악기를 세게 연주하면 큰 소리가 나는 만큼, 벨로시티 값이 클 수록 큰 소리를 갖는다 물론, 일부 플러그인은 이를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FL 스튜디오에서는 피아노 롤(Piano roll)에서 벨로시티를 조절할 수 있다.

 

> MOD  X, MOD Y

  - MOD XMOD Y [Main]-[Modulation] 항목에서 소개했던 [X/Y Controller]의 값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X/Y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Automation등으로 변화를 주기 전에는 움직이지 않는 값임을 주의.

 

> Random (RAND)

  - 많은 가상악기들은 무작위성이나 백색 소음을 추가해 소리에 현장감을 부여하려 한다. Sytrus에서, [RAND]는 이러한 무작위성을 담당하는 파트라고 할 수 있겠다.

 RAND의 가로 값은 0~100%의 값을 가지며 하나의 음이 연주될 때 마다 새로운 무작위의 값을 갖게 된다. 한 번에 3개의 화음이 울릴 때, RAND에는 보이지 않는 세 개의 세로선이 그어지게 되고, 그 세로선과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의 y값만큼의 변화량이 적용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래의 세팅에서 동시에 두 개의 음을 연주했을 때 소리의 세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 주파수가 밝게 빛날수록 강한 볼륨을 갖는다.

 문제는, 정말 어떤 값이 적용 될 것이고 어떤 값이 적용되었는지는 평생 알 수가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것이 RAND의 묘미 아닐까??

 

> Unison Mapping (UNI)

  - 이 항목은 Unison이 활성화 되어있을 때에만 작동하며, 해당 OP에 기반하여 만들어지는 유니즌의 각 요소(보이스)에 적용되는 항목이다.

 유니즌의 ORD가 늘어날 수록, UNI 창에 나타나는 짙은 세로선의 개수가 늘어난다. 짙은 세로선은 유니즌 보이스를 의미하며, 짙은 세로선과 빨간색 그래프가 만나는 교점의 값이 유니즌 보이스에 적용된다.

 위의 경우, 파형은 사인 형태로 하였고(그래픽 EQ에서 한 선으로만 표시된다), ORD4, PE1,200 cents로 설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에디터에서 가장 높은 부분의 값(+100%)을 가지는 유니즌 보이스는 1 옥타브 높은 음을 연주하게 된다.

 

 ORD의 변화에 따른 UNI 에디터의 변화는 [Table3]을 참고하기 바란다.

(, ORD2인 경우는 양 끝의 두 선에 해당한다.)

 이 항목은 [GLOBAL UNISON][OSC] 모드와 상관 없이 동작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