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Sytrus : 내가 쓰는 매뉴얼

[SYTRUS] #12. Operator / 오퍼레이터 (5) : Articulation Section - Modulation Source [ENV]

728x90

Modulation Source – Common Functions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에디터(Editor)에 적용되는 공통 사항들을 살펴보자.

> Settings

  - 에디터의 우측 하단에는 네 가지 옵션이 제공된다. 차례대로 Freeze, Step, Snap, Slide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1. Freeze : 편집 기능을 제한한다. 이 항목이 켜져있는 동안에는 에디터로 편집할 수 없다.

  2. Step : 자유롭게 그래프를 그린다.

  3. Snap : 점을 격자에 맞춘다. 위의 Step과 같이 사용할 경우, L-Shift를 눌러서 계단(Step)을 그릴 수 있다.

  4. Slide : 마우스로 점을 드래그 할 때, 그 이후의 점들에 대해 설정한다. Slide 옵션이 켜져있을 경우에는 이후의 모든 점들이 이동하고, Slide 옵션이 꺼져있을 경우에는 다음 점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 Options

 위의 네 항목 왼쪽으로 쭉 가다 보면, 드롭다운 메뉴가 보일 것이다.

 우선, [Presets]에서 미리 준비된 여러 프리셋들을 불러올 수 있다.

 [Save / Open state file]은 해당 ENV/LFO 등의 그래프(Map)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기능으로, Sytrus 뿐 아니라 Harmor 등의 다른 플러그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밑의 [Copy/Paste Stated]는 현재의 그래프를 다른 소스에 그대로 복붙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이다.

 

 그 외에도, Points selection (그래프에서 선택된 점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Tools, View 등 여러 옵션이 있다

 

Modulation Source

 Modulation Source는 타겟을 변화시키는데 사용할 소스들이다. Sytrus에서는 총 8개의 항목을 지원하며, 이들 중 ENVLFO는 적용 여부를 직접 선택해야한다. (적용 여부는 Target과 마찬가지로 오렌지 색으로 표시된다)

> ENV

  - 이제는 너무나도 익숙한 ADSR 엔빌로프이다. , 위에서 소개하였듯이 이 그래프를 자유롭게 그릴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에디터 아래에 [ADSR Offset]이라는 노브가 달려있는데, 이는 ADSR의 파라미터가 아닌 그래프의 ADSR Offset‘을 의미한다. 노브들의 단위는 msdB이 아닌 ‘%’, 그래프에서 만들어진 Attack/Decay/Release 타임의 몇 %에 해당하는 오프셋을 가질지, Sustain Level의 몇 %에 해당하는 레벨을 가질지를 조정하는 노브일 뿐이다.

 노브를 움직이는 동안에는 그래프가 약간 이동하는 것 처럼 보이나, 손을 뗌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들리는 소리는 노브를 움직이는 동안에 보였던 그 그래프의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만약, 사용자가 임의로 ENV 그래프를 그렸다면 ADSR 각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이 어떻게 정해질까?

 대답은 단순하다 : 직접 지정하지 않으면 모두 Release로 취급된다.

 당연히 특정 지점까지를 ADR로 지정할 수 있다. 보다 간단히, Attack이 끝나는 시점이 Decay가 시작되는 지점이고, Release가 시작되는 시점의 레벨이 Sustain Level이 될 것이므로 D/S만 설정해주면 된다.

 특정 지점을 우클릭 한 후, [ADSR section]에서 DecaySustain을 설정하면 된다. 너무 당연하지만, Sustain 앞의 점은 Decay로 설정할 수 없다.

 당연히 특정 지점까지를 ADR로 지정할 수 있다. 보다 간단히, Attack이 끝나는 시점이 Decay가 시작되는 지점이고, Release가 시작되는 시점의 레벨이 Sustain Level이 될 것이므로 D/S만 설정해주면 된다.

 특정 지점을 우클릭 한 후, [ADSR section]에서 DecaySustain을 설정하면 된다. 너무 당연하지만, Sustain 앞의 점은 Decay로 설정할 수 없다. 또한 모든 지점(D, S)을 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지점만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싱크/글로벌 항목이다.

 [TEMPO] 버튼은 엔빌로프의 길이를 시간(ms) 단위에 맞출지, 아니면 여러분이 작업중인 곡의 템포(BPM) 단위에 맞출지를 결정한다. BPM 단위로 맞추게 되면 보다 박자에 맞아 떨어지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후자의 경우로 선택할 경우 BPM180에서 160으로 줄어들 때 ENV 역시 그에 비례하게 감소하게 되므로, 어쩌다 템포를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바꿔야 할 때 유용하다.

 [Global] 버튼은 연이어 이어지는 노트들에 대한 ENV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Global 버튼이 OFF일 경우, 모든 노트들은 독자적인 ENV를 갖게 되며, ON일 경우 연달아 연주되는 노트들(, 프로그램상 아주 조금이라도 이전 음과 겹쳐져야 함)에는 하나의 ENV가 적용되게 된다.

* 결과는 #A.4.1 (♩)에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