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rum 설치 방법
Serum은 Xfer에서 만든 가상악기로, 당연히 Xfer 공식 웹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다.
(다른 가상악기 Nexus를 만든 회사는 ReFX로, 아무런 상관 관계가 없다)

Serum의 가격은 작성 일자 기준 189$, 부가세를 빼더라도 한화로 23만원이 조금 안되는 금액이므로,
작곡이 생업이 아닌 사람들에게는 바로 구매하기에 망설여질 수 있다.
다행히, Splice에서 Xfer Serum을 Rent-to-own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여러분은 처음 3일간 Xfer Serum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이후 매 달 9.99$씩 “대여료”를 내게 될 것이다. 물론 대여료를 내면서 대여(Rent) 하는 도중에도 최신 버전의 Serum을 계속 이용할 수 있고, 중간에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 다음달부터 바로 계약을 해지할 수도 있다.
마침내 19개월 후에는 Serum의 원가인 189$를 모두 지불한 상태가 될 것이므로, Serum은 완전히 여러분의 소유가 될 것이다.
혹시라도 어둠의 경로를 통해 구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이 방법을 고려해보기를 강력히 권장한다.
이 매뉴얼에서는 Splice로 설치하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다. 우선, [Splice 홈페이지]로 이동하자.
(링?크 : https://splice.com/)

다음, 좌측의 화면에서 상단 메뉴의 [Plugins]-[Serum]을 클릭하자. 그러면 오른쪽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파란색 버튼을 눌러주자.

그러면 회원가입을 종용(?)한다. 간단하게 해주자.

▶ Username
사용자 닉네임
▶ Full name or artist name
실명 혹은 활동 닉네임
계정 이메일
▶ Password
패스워드
▶ I agree to ~
어차피 안 읽었지만 읽고 동의함
회원가입까지 완료되었으면 Splice desktop app을 설치할 것이다.
설치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으므로, 다운로드가 다 될 때 까지 기다리자.
기다릴 동안 심심할 수도 있으니, Xfer에서 소개하는 Serum + 본인의 생각을 간단히 적어 놓았다.
어째서 Serum을 사용할까요? (Why SERUM?)
고퀄리티의 소리, 시각적이고 창의적인 작업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는 악기 생성, 추출, 에딧(수정), 웨이브테이블 생성 및 실시간 변화를 지원하는 Wavetable 기반의 신시사이저인 Serum이 등장하면서 “꿈의 신시사이저 (Synthesizer)”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 대충 Serum이 개쩐다는 뜻)
실제로 Serum은 많은 아티스트들이 사용하며, 역동적인 Wavetable, 파라미터, FX들은 소리를 역동적이고 다채롭게 만들어준다. 파라미터의 사소한 변화와 LFO가 적용되는 범위를 조금만 조정해주어도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소리가 만들어지며, 이미 내장되어 있는 10가지 FX 플러그인 들과 모듈레이터들과 함께라면 수 많은 소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Sytrus나 Harmor에 비해 훨씬 직관적이고 ‘걔네보다는 그래도 좀 단순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여담으로, 본인이 군대에 있을 때 Vital이라는 WT 기반 신디사이저가 무료로 배포되어서...
Serum Vs Vital의 논쟁은 해외에서도 현재진행형인듯 하지만, 본인이 Vital을 아직 안써봐서 잘 모르겠다.

앱이 다 설치되었으면 위 사진처럼 [Tools] – [Serum] - [Install]을 눌러주자.
Serum이 다 설치될 때 까지 다시 한번 기다려주자.
Serum이 완전히 설치되었다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자. Ableton live, FL Studio, Cubase, Logic pro 등
어떤 프로그램이 되었든 상관 없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가상악기(VST)를 불러오자.

만약 VST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수동으로 찾아내서 한 번 불러와야 한다.
각 프로그램마다 VST 플러그인을 불러오는 방법이 다르므로… 여기서는 딱히 설명하지 않겠다.
인터넷에 검색하기를 권장한다.
자! 이로써 길고 길었던 Serum 설치가 끝났다!
이후 내용들은 대부분 Serum의 구동 원리와 기능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완전 초보들을 위한 여러가지 용어들에 대한 설명이 덧붙어 있는 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림이나 영상과는 달리, 소리는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부득이하게 여러분이 귀로 ‘청음’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Serum에서 실제로 유저가 조작할 수 있는 값들을 “파라미터(Parameter)”라고 한다.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도구들은 다음과 같다 : ![]() |
'매뉴얼의 세계 > Serum : 내가 쓰는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um] #05. Wavetable Oscillators [OSC] (3) : 모듈 (0) | 2021.12.08 |
---|---|
[Serum] #04. Wavetable Oscillators [OSC] (2) : 웨이브 테이블의 이해, 웨이브 테이블 불러오기 (0) | 2021.12.07 |
[Serum] #03. Wavetable Oscillators [OSC] (1) : 살펴보기 (0) | 2021.12.07 |
[Serum] #02. 세럼 프리셋 저장 및 불러오기 (2) | 2021.12.06 |
[Serum] 시작하며...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