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Serum : 내가 쓰는 매뉴얼

[Serum] #05. Wavetable Oscillators [OSC] (3) : 모듈

728x90

Wavetable OSC Module (OSC 모듈)

 앞서 짤막하게 언급했듯이 Serum은 두 개의 메인 OSC 모듈을 지원하는데, 이름하여 OSC A, OSC B 되시겠다. 각각의 OSC에는 웨이브테이블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Display), 해당 웨이브테이블과 관련된 여러 파라미터들이 포진해있다. 이들의 역할을 최대한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이제 각각의 노브들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Pitch Control (음정 조절)

아...화질...

 Serum에는 3+1개의 음정 조절 기능이 있다.

Octave (OCT) : 옥타브 단위로 조절.  (C4 C5)

Semitones (SEM) : 반음 단위로 조절. (C4 C4#)

Fine (FIN) : Cent단위 조절. (1200Cents1201Cents)

COARSE (CRS) : 러프(rough)하게 조절. 옥타브보다 더 넓은 범위의 음을 조절한다.

 

* 음정의 단위에 대해서는 여기 참고

Pan, Level Controls (패닝, 볼륨 조절)

PAN

 (PAN)은 좌우 음향 효과를 말한다. 디폴트 값은 0.5, 왼쪽으로 노브를 돌리면 왼쪽에서 소리가 더 크게 나온다.

 

LEVEL

 OUTPUT VOLUME LEVEL (아웃풋 볼륨 레벨), 해당 OSC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얼마나 크게 재생될지를 결정한다. Serum의 모든 소리를 관장하는 [Master Volume]과는 구분해서 사용한다.

 

Phase Control (페이즈 컨트롤)

PHASE

 악기를 연주할 때, 해당 웨이브테이블을 어디서부터 재생할지 결정한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노란색 세로선이 그 시작선이다.  [RAND]가 최대일 때에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RAND (Random)

 [RAND] 노브를 돌리면 노란색 영역이 나타나는데, 악기를 연주할 때 이 노란색 영역의 랜덤 부분에서부터 웨이브테이블이 재생된다. 

 

 언뜻 보면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은 기능처럼 보이지만, 아래 내용을 살펴보자.

* 페이즈 컨트롤과 클릭(Click)

 어차피 WT는 아주 작은 단위여서 어디서 시작하거나 차이를 못 느낄텐데?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이 페이즈(Phase) 컨트롤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엔빌로프(ENV)의 어택(Attack)이 매우 빠를 경우(거의 0ms일 경우), 다시 말해 악기를 누르자 마자 음이 재생되는 경우, 어쩌면 여러분은 매 음이 연주되기 시작할 때 마다 거리는 소리가 들려 불편할 것이다.

 이를 클릭(Click)이라 하며, 클릭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택(Attack) 시간을 조금 늘려주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여러분의 의도가 재빠르게 치고 들어오는 듯한 악기일 경우, 어택은 오히려 거추장스러울 수 있다. 이럴 때 페이즈 컨트롤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가장 좋은 예시는 Sine 파형이다. OSC A만을 켜 놓고, [Analog]-[Basic Shapes]에서 사인 파형을 불러오고 아무 음이나 연주해보자. 매번 연주할 때 마다 Tic, 혹은 Chic과 비슷한 거슬리는 소리가 들리는가?


 클릭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을 Declick(디클릭)”이라고도 한다.

 이번에는 이렇게, 매 번 연주할 때 마다 반드시 Sine 파형의 시작부분 (아니면 y=0인 부분)에서 WT가 재생되도록 설정해주자. [Phase][RAND] 모두 0으로 맞춰주면 된다. 그리고 다시 아무 음이나 연주해보자. 유의미한 차이가 느껴지는가?
 이 외에도, 보통 두 개의 메인 OSC 모듈을 모두 사용할 때에는 [RAND] [PHASE]0으로 맞춰주면 두 WT간의 간섭이나 상쇄를 피할 수 있어 항상 같은 소리가 연주 될 것이다. 그러나 보통은 한 가지 음만 계속해서 재생되기보다는 약간의 변주(Variation)이 있어야 더욱 자연스러움을 느끼므로, Phase control을 조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림과 같이, Phase 노브를 최대로 돌리면 360°가 아닌 Mem이 나타난다(애초에 360은 필요 없는 값이다). MemMemory use의 약자로, 악기가 연주될 때 이전에 재생이 끝났던 그 위치에서부터 WT를 재생하라는 뜻이다.

Unison Control (유니즌 조절)

 유니즌(Unison)하나의 음을 동시에 여러 개 연주하는 것이다. 다른 가상악기들과 달리, Serum에서는 이 유니즌들을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적으로 보여주므로 유니즌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 이후 다룰 [GLOBAL] 페이지에서 유니즌 보이스들을 쌓는 규칙을 바꿀 수 있다!

Unison Voice (Unison order)

- 동시에 연주되는 음의 개수이다. 왼쪽의 예시에서는 7개의 유니즌이 연주되고 있다.

- Serum에서는 왼쪽의 [UNISON]이라는 박스에서 1~16사이의 수를 지정할 수 있다
 

 

 

Central

- 가장 가운데에 있는 노란색 유니즌(원음)이다. 유니즌 보이스가 홀수 개일 경우에는 1,
짝수 개일 경우에는 2(/우 하나씩)가 된다.

Detune/Pitch

-유니즌들과 원음의 음정 차이이다.

Blend/Volume

-원음과 유니즌들의 음량 차이이다. Blend가 낮으면 유니즌들이 거의 들리지 않고, 반대의 경우에는 유니즌들의 소리가 원음보다 강조된다. (디폴트 값 : 75%)

Wavetable Control (웨이브테이블 조절)

 앞서, SerumWT는 최대 256개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을 어떤 규칙에 따라 재생하면 역동적인 소리를 만들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Serum의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인 LFO와 더불어, 이번 절에서 소개할 WT PosWarp Menu는 매우 유용한 파라미터이다.

WT POS (Wavetable Position, 웨이브테이블 위치)

 쉽게 말해, 앞서 말한 웨이브테이블의 재생할 프레임을 지정한다. 이후 [ENV][LFO]에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다룰 것이다.  

 

WARP Menu (워프 메뉴)

 평소에는 ‘Off’로 설정되어 있으며, [OFF] 글자를 눌러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노브를 돌려서 재생중인 프레임의 파형을 변형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은 같은 Default Saw waveOSC A에서는 Sync [Window Full] 메뉴를 선택한 후 변형해 준 것이다.

Display (디스플레이)

 

 마지막으로, 메인 디스플레이이다. 메인 디스플레이에서는 WT를 불러온 후 시각적으로 관찰하며 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실 디스플레이에 대한 내용은 “WT Edit” 기능을 제외하고는 앞에서 모두 하였다(Wavetable 불러오기).

WT Edit은 이후에 다룰 내용이므로 잠시 넘어가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