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set 저장 및 불러오기
■ Preset 불러오기
처음에 소개할 기능은 제일 중요한 기능, Preset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이다.
우선 Preset을 불러오는 방법이다. 아래 사진처럼 [ - Init - ] 을 눌러주자.
다음, 드롭 메뉴에서 원하는 프리셋을 선택해주자.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리셋 중 하나인 [BA-The Realest]를 선택했다.
약간의 로딩 시간이 지나면, 이전과는 많이 달라진 것들이 몇 군데 보일 것이다. 이것 저것 건드려보면서 놀아보자.
![]() 마우스를 궁금한 노브나 제목에 갖다 대면, 해당 항목에 대한 짤막한 설명이 나타난다. 이를 “Tool tips”라고 한다. 만약 어떤 기능이 갑자기 기억나지 않는다면 참고해볼만 하다. |
■ Preset 저장하기
이번에는 Preset 저장 기능을 알아보자.
FL Studio의 경우에는 “.fst”라는 형식으로 프리셋을 다른 방법으로도 저장할 수 있으나,
이렇게 저장할 경우에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Serum을 구동할 때 해당 프리셋을 사용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프로그램의 “Serum이라면” 읽을 수 있는 파일 형식인 “.fxp”로 저장해야 한다.
우선 어떤 악기를 만들었다고 해보자.
하늘색으로 표시된 사각형에는 프리셋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제작자 이름을 적을 수 있다.
해당 박스를 더블 클릭하면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Latte is horse…)를 눌러주자.
위 사진처럼 “Preset 폴더”가 자동으로 열린다.
이 경로에 저장하면 “.fxp” 형식으로 저장된다. 다음에 불러올 때는, 이전 페이지에서 설명한 방식처럼 불러오면 된다.
이상의 내용들을 한 눈에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이후에 작업을 하면서 ‘어떤 프로젝트에서 만든 Lead Saw가 너무나도 감성적이고 아름다워서 이후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하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이 때, 모든 변수를 기억해서 일일이 대입할 필요 없이, 바로 프리셋을 저장하고 불러오면 된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유저들이 만든 프리셋을 분석하면서 공부할 수도 있고, 반대로 내가 만든 프리셋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것은 Serum 뿐 아니라 대부분의 VST 플러그인에서 가능한 기능이다.)
구글에 “Free serum sample pack”이나 “Free serum presets”이라 검색하면 여러 종류의 무료 프리셋들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자신의 곡에 맞도록 적절히 바꾸면 훨씬 편리할 것이다.
혹자는 ‘프리셋을 쓰면 필요한 소리를 직접 못 만든다’ 라고 할 지도 모르나, 원하는 소리를 만들고 자시고 남이 만든 프리셋을 분석해보고 이것저것 조정해가면서 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공부하는 것이 제로 베이스에서 무작정 달려드는 것 보다 훨씬 현명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악기 이름들을 정리해보자.
그렇다고 반드시 아래 표의 단어를 사용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종류 | 축약 | 종류 | 축약 |
Lead | LD | Bass | BA, BS |
Plucked | PL | Guitar | GT |
Piano / Keyboard | PN / KY | Arpeggio | ARP |
Bell | BL | Organ | OR |
Pad | PD | Strings | ST |
Atmosphere | AT | Brass | BR |
TranceGate | TG | Woodwinds | WW |
Sequencer | SEQ, SQ | Synth | SY |
Vocal / Voice | VO | Screech | SC |
Drums | DR | Chords | CH |
Drum Loop | DL | Percussion | PERC, PR |
Sound Effect (FX) | FX | ||
순서는… 생각 나는 대로 아마? |
'매뉴얼의 세계 > Serum : 내가 쓰는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um] #05. Wavetable Oscillators [OSC] (3) : 모듈 (0) | 2021.12.08 |
---|---|
[Serum] #04. Wavetable Oscillators [OSC] (2) : 웨이브 테이블의 이해, 웨이브 테이블 불러오기 (0) | 2021.12.07 |
[Serum] #03. Wavetable Oscillators [OSC] (1) : 살펴보기 (0) | 2021.12.07 |
[Serum] #01. Serum 시작하기 (0) | 2021.12.06 |
[Serum] 시작하며...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