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Serum : 내가 쓰는 매뉴얼

[Serum] #07. Wavetable Oscillators [OSC] (5) : Filter & Voicing

728x90

Filter Module

Filter

필터(Filter)는 말 그대로 “(주파수)를 걸러주는역할을 한다. 마치 거름종이를 통해서 액체와 고체를 걸러주는(Filtering) 과정과 마찬가지로, 어떤 소리에서 불필요한 주파수를 줄이는 것필터링(Filtering)이라 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플러그인/모듈을 필터(Filter)라고 부른다. EQ(Equalizer;이퀄라이저)를 사용하듯 원하는 주파수대를 선별적으로 보정해주는 방법이 아님에 주의하자.
가나다라 테스트
띄어쓰기 띄어쓰기 사이

Filter Type

적용할 필터를 선택.

Display

필터가 어떻게 적용될 지를 보여준다. 파란색으로 칠해진 영역의 주파수들이 영향을 받는다.

OSC Filter

A, B, N, S는 각각 OSC A, OSC B, Noise, Sub OSC를 의미한다. 버튼가 켜지면 해당 OSC에 필터가 적용된다.

Key Track Switch

필터가 음의 높이(Note)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Cut off

필터의 컷오프.

Resonance (RES)

필터의 Q를 조절한다.

PAN

좌우 음향.



Drive

소리의 인풋(Input)을 키운다. 과도할 경우 약간의 왜곡(Distortion)이 발생할 수 있다.

Var (사진에는 FAT이라 나와있음)

해당 필터에 적용되는 독특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Pass-Filter 종류의 경우에는 FAT, EQ의 경우에는 db Gain으로 바뀐다.

MIX

필터가 적용될 양을 결정한다. 100%로 적용하기보다는 적정량을 맞춰주는 것이 좋으며, 공식 매뉴얼의 권장값은 50% 정도이다.

Voicing & Portamento

Voicing

보이싱(Voicing)한 번에 연주될 수 있는 음의 개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 음표/노트(Note) 당 최대 34개의 소리(16X2+1+1)가 울릴 수 있는데, 만약 이 상황에서 동시에 20개의 음을 연주한다면 680개의 소리가 동시에 연주되는 것이다! 이는 당연히 CPU 연산에 부담을 주게 될 뿐더러, 원래 의도와 달리 지저분한 소리를 낼 수 있으므로 후술할 [Poly] 등을 통해 적절한 개수를 유지해 준다.

Monophonic switch (Mono)

한번에 한 음(Mono)만 연주되게 할 지, 둘 이상의 음을 동시에 연주 가능하게 할 지 선택하는 버튼.
버튼이 켜져 있으면 Mono 상태가 된다.

Poly

동시에 연주 가능한 노트(Note) 개수. 유니즌이나 Sub, Noise 등에 의한 소리의 개수가 아님에 유의하자.

Legato

두 음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적용된 LFOENV이 다시 작동할지 말지에 대한 여부이다.

레가토(Legato)가 꺼져 있을 경우에는 새로운 노트가 연주될 경우 ENV이 다시 작동되지만(Retriggered),
켜져 있을 경우에는 이전 노트의 ENV을 그대로 이어받는다.

Portamento

보이싱(Voicing) 아래에는 작은 모듈이 하나 달려있는데, 이 네 가지로 음에 포르타멘토(Portamento)를 줄 수 있다.

Always


항상 포르타멘토를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 , 포르타멘토가 이전 노트의 유무에 관계 없이 발생한다. 만약 Off 상태인 경우, 포르타멘토는 두 노트를 겹칠 때 발생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참조)

Scaled


ON일 경우, 두 음이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포르타멘토가 더 오랜 시간 지속된다. , 한 옥타브 거리의 음에 비해 두 옥타브 거리의 음 사이에 발생하는 포르타멘토가 더 길다. 빌드 업에 사용하는 Riser를 만들 때 사용하면 좋다.


Porta time knob

포르타멘토의 시간을 설정한다. 위의 [Scaled] 켜져 있을 경우,노브에서 설정된 시간은 한 옥타브 사이의 음 사이에서 발생하는 포르타멘토의 시간을 의미한다.

Curve

포르타멘토가 적용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처음에는 피치(Pitch)가 빠르게 증가하다가
마지막에는 서서히 증가하는 형식이다.



Glide = Portamento : 음이 다음 노트까지 연속적으로 변화
Glissando : 음이 다음 노트까지 불연속적으로 변화
Legato : 음과 음 사이를 부드럽게 연주 (두 노트가 겹치더라도 자기 노트를 끝까지 연주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