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뉴얼의 세계/Serum : 내가 쓰는 매뉴얼

[Serum] #17. Mod Matrix : 모듈레이션 매트릭스

728x90

 앞서, 우리는 ENVLFO 등을 각 노브들에 배정하였다. 이렇게 배정된 소스들을 한번에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곳이 [MATRIX] 페이지이다.

[MATRIX] 인터페이스

 처음에야 깔끔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빈 페이지를 찍었지만, 아마 작업 도중 여러 오토메이션을 이곳 저곳 건드리다 보면 아마 아래 사진이 조금 더 현실적일 듯 하다.

 만약 이 페이지의 내용들이 잘 이해가지 않는다면, 앞의 [Automating] 부분을 참고하기 바란다.

 

1. Mod Source

 오토메이션/변조(Modulate)를 위해 사용하는 원본 소스이다. 클릭하면 사용 가능한 모드 소스들이 나타난다. 대부분은 이전에 다룬 소스들이지만, 새로운 것들이 몇 개 보인다.

-Mod Wheel : 모드 휠
-ENV 1~3 : ENV
-LFO 1~8 : LFO
-Velo, Note# : Velocity/Note Source
-Aftertouch : Aftertouch (Velocity

유사)

-Poly Aftertch : Channel Pressure
-Chaos 1,2 : GLOBAL에서 자세히 설명
-Noise OSC : Noise OSC의 원본 파일
-NoteOn Rand 1,2 : 어떤 음표를 연주할 때 마다 무작위로 적용
-Macro 1~4 : 매크로
-Pitch Bend : Pitch bend
-MPE X, Y, Z : MPE 기기와 연동 시 사용 가능
-Rel. Velo : Release Velocity
-Fixed : 고정값
-

MPE(MIDI Polyphonic Expression)Serum과 같은 가상악기와 연동하여, 마치 가상악기를 어쿠스틱 악기처럼 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이다.

 

2. Amount slider (Amount)

 간단히 말해서, 어떤 소스를 노브에 적용시켰을 때 나타나는 푸른색 헤일로이다.

 대충 눈치챘겠지만, 정방향으로 적용되었을 때에는 오른쪽으로, 역방향으로 적용되었을 때에는 왼쪽으로 치우쳐진다.

 

3. Destination

 오토메이션을 걸어 변조하고자 하는 대상.

 

4. Mode Type

 사진으로 보는 것이 가장 편할 것 같다.

→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노브가 돌아가 있는 위치에서 헤일로가 시작되지만,

↔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노브가 돌아가 있는 위치가 중심이 되어 헤일로가 생긴다.

 

 

 

5. Mod

 Sound SourceAux Source가 서로 간에 어떻게 영향을 줄 지 선택한다.

-* : 디폴트 값. 공식은 (Sound Source ) X (Aux Source )
-*(inv) : 위의 *과 반대 방향. 공식은 (Sound Source ) X (100-Aux Source )
-Bypass : 해당 오토메이션을 일시적으로 비활성시킨다.
 

6. Aux Source

 Sound Source에 영향을 줄 다른 모듈레이터. [MOD]를 통해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을지 선택할 수 있다.

 

7. Output

 일반적인 믹서의 Dry/Wet과 비슷한 기능.

 

 이로써, 오토메이션에 관련된 내용을 거의 다 다루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내용일 뿐, 어떤 파라미터에 오토메이션을 어떻게 걸어서 어떤 소리를 만드는지는 순전히 여러분의 몫이다! (무책임한게 아니다... 나도 잘 모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