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ster Levels

Master Levels에서는 볼륨, LFO, 음정(Pitch, 이하 피치)를 조절한다.
> Master Level (VOL)
- Master Volume 레벨을 설정한다. 0~125%
> Master LFO (LFO)
- Master LFO 레벨을 조절한다.
단, -128~+128까지의 범위이므로, 모든 글로벌 LFO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값은 가운데(0)이다.
- 여기서 Master LFO는 이후 나올 OP나 Filter 등에서 다룰 LFO들 중, 그 효과가 전역적으로 적용되는 것들을 말한다.

> Master Pitch (PITCH)
- Master Pitch를 설정한다. -2~+2옥타브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 Global Volume & Filter Envelope Levels

이 설정들은 Global Envelope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볼륨과 필터에 대한 엔빌로프(이하 ENV)가 제공된다.
ENV과 관련된 내용은 이 글을 참고.
> Global Volume Envelope (VOL ENV)
- Master Volume에 대한 ENV를 제공한다.
A : Attack
D : Delay
S : Sustain
R : Release
> Global Filter Envelope (FILTER ENV)
- Filter의 Cuttoff/Resonance에 대한 ENV를 제공한다.
ADSR은 위와 동일.
*NOTE) 단, ADSR 필터 파라미터가 설정되지 않은 OP에 대해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부록 A1.1]
■ Global Volume/Filter Envelope의 정확한 작동 원리
이 항목은 《Global Volume & Filter Envelope Levels》 뿐 아니라, 《Articulation Section》의 ENV나 LFO에도 적용된다.

앞서, ADSR이 설정되지 않은 OP에 대해서는 Global VOL ENV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편의상 Global VOL ENV를 GVE로 칭하겠다)
사실, 위의 파라미터는 Global Volume이나 Filter에 대한 직접적인 파라미터가 아니다.
다시 말해, 완성된 소리에 대한 Volume ENV나 Filter ENV가 아니며, 정확히는 각 OP 등에 적용된 Volume ENV나 Filter ENV의 ADSR의 값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이다.

FL Studio의 좌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현재 작업중인 파라미터의 값이 표시된다. 본인이 건드린 항목은 GVE의 Attack인데, Volume attack이 126%로 변경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이 파라미터는 “기존 OP에 적용되어 있는 Volume ENV의 Attack 값을 126%로 보정”하라는 뜻이다.
즉, 이 값이 200%라면 “기존 Volume ENV의 Attack 값을 200%(2배)로 보정”하라는 뜻이 된다. 만약 OP1과 OP2에 Volume ENV의 Attack값이 각각 20ms, 100ms로 설정되어 있다면, GVE의 A 파라미터를 통해 보정된 Attack값은 각각 40ms, 200ms이 될 것이다.
이 상황을 조금 더 명확하게 보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OP1만을 켜 놓은 상태에서 ENV를 위와 같이 설정해주었다 – 당연히 ENV를 적용시킨 상태이다. 이제 동일한 노트를 연주하되, [Main] 모듈에서 GVE의 A값을 각각 0%, 100%(기본값), 200%로 변화시켜보았다.
설정된 GVE 값에 따라, 파형이 상당히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값이 0%로 설정된 경우에는 Attack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200%로 설정된 경우에는 기본값일 때 보다 훨씬 긴 어택 타임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읽어 보셨다면, 이제 ‘ADSR이 설정되지 않은 OP에 대해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라는 점은 너무 당연할 것이다. 모르겠다고?? 야!!

* 각각의 결과는 #C1.A1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결과만 놓고 보면, 결국 Global VOL ENV를 통해 새로운 ENV를 덧씌우는 것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GVE는 어디까지나 기존 ENV의 ADSR 파라미터 값만 보정할 뿐이지, 세부적인 Tension에는 일체 개입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ENV 에디터에서 주황색 점만 끌고 다니는 것이지, Tension을 결정하는 빨간색 원은 건드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매뉴얼의 세계 > Sytrus : 내가 쓰는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TRUS] #05. Main Module / 메인 모듈 (4) : Equalizer (0) | 2022.08.16 |
---|---|
[SYTRUS] #04. Main Module / 메인 모듈 (3) : Modulation (X/Y Controller), Unison (0) | 2022.08.15 |
[SYTRUS] #02. Main Module / 메인 모듈 (1) : 개요 (0) | 2022.08.11 |
[SYTRUS] #01. Sytrus 시작하기 (0) | 2022.08.10 |
[SYTRUS] #00. 시작하며...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