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냉혹한 음악의 세계/[음악] 잡다한 번역 모음

[번역] 프로페셔널한 보컬 믹싱을 위한 6가지 방법

728x90

원글) https://ledgernote.com/columns/mixing-mastering/how-to-eq-vocals/

(How to EQ Vocals Professionally: The Easy 6 Step Method)

 

^) 이해의 편의 및 참고 사항

+) 번역한 '본인'의 코멘트, 즉 역자 주

- 본 글에서의 '필자'는 원글 작성자를 의미함

- 원활한 전달을 위해, 일부 불필요한 내용 제거 및 의역 포함되었음 (번역체 -> 자연스러움 목적)


 모든 녹음 상황과 결과물이 같을 수는 없을 것이기에, 보컬 EQ 방법으로 소개되는 것들은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한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알고 있어야 할 유용한 팁들이 있다.

 

 여러분들이 녹음하거나 DAW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하다 할 지라도, '믹싱'은 고려해야할 점이 많기 때문에 선뜻 시작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사실, 보컬 EQing은 믹싱에 따른 변화가 뚜렷하기 때문에, 가장 쉬운 파트라고 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이 step-by-step 가이드는 여러분이 무엇을 해야하는지만 알려줄 뿐 아니라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알려줄 것이다. 그리고 모든 과정은 이후의 컴프레션, 리미팅, 리버브/딜레이, 기타 효과를 추가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 시작에 앞서, 다음 글을 읽어보고 시작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 EQ를 위한 10가지 팁 - (1)

The 6 Vocal EQ Steps

 시작하기 전, 여러분의 결과물은 "원본 소스"의 퀄리티에 따라 한계점이 분명할 것이라는 점을 짚어두고 싶다. 더 나은 녹음 장비를 사용할 수록, 더 깔끔한 이퀄라이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녹음실의 환경 또한 중요하다. 여러분들이 DIY(Do it yourself) 보컬 부스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적어도 어느 수준까지는 신경써 줘야한다. 꽤 단순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러분에게 꼭 필요한 오늘의 준비물은 "Parametric Equalizer^"이다. 필자는 여러분이 무슨 DAW와 무슨 플러그인을 사용할것이라고 가정하고 시작하겠다. 좋은 DAW들은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가 내장되어 있을 것이다. 보컬 트랙에 해당 플러그인을 추가하자.

 

 ^ 파라매트릭 EQ는 각 밴드의 레벨(dB Level), 센터 주파수(Center frequency), 밴드 넓이(Bandwidth)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적인 EQ입니다. 

Parametric EQ의 실물도 (FL)

<참고 사항>
 이 글에서, 여러분들께 특정 주파수대를 어떻게 해보자는 <시작 세팅> 이하의 내용들이 나오게 될텐데, 여러분들은 여러분들의 상황에 맞게 조금씩 조정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전체 음악에 삽입될 보컬의 경우에는 이하의 과정보다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할것입니다.

  한 가지 추가하고 싶은 말은, 여러분은 위 이미지처럼 Visual Analysis 기능^이 지원되는 플러그인을 사용해도 된다. 다만, 이 기능은 여러분이 소리가 아닌 '시각적인' 이미지를 토대로 믹스를 하게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완전 초보자가 아니라면 권장하지 않는 사항이다.

 

^ Visual Analysis : 위 사진처럼 Frequency Spectrum 등을 통해, 특정 주파수대에 얼마나 센 신호가 흐르는지를 보여주는 기능. 위의 경우에는 100~200 Hz 부분의 소리가 세므로, 이 악기(오케스트라 드럼 루프이다)의 중요한 파트를 이 부분이 차지한다고 볼 수 있겠다.

 

 

1) 베이스 주파수대를 밀어버리자.

 

 어떤 보컬 트랙이던지, Low-end Bass Frequency를 제거하는 작업을 거쳐야한다. 이 부분이 바로 상당수의 잡음들(전기의 치지직 거림이나, 60 Hz 부근의 잡음이나, 마이크 스탠드/책상의 떨림이나, 에어컨 소리 등)이 잔류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남성/여성 보컬 역시 이 영역대에 도달하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음악, 팟캐스트(방송), 오디오북 등에서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들이 마이크에 필요 이상으로 가깝게 대고 녹음했을 경우, 이 영역대에 찍힌 여러분의 소리가 근접효과(Proximity Effect^)로 인해 지나치게 크게 들릴 수 있다. 

 

^Proximity Effect (근접효과) : 복수 도체에서, 전류력때문에 도체 단면의 전류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

이로 인해 특히 고주파역대에서 더 강한 저항 효과가 발생하여 베이스가 더 크게 들리는 등으로 왜곡될 수 있다.

사실 몰라도 된다. 나도 모르겠어

네이버 지식백과 펌

 파라메트릭 EQ에서, 왼쪽 부분의 밴드는 이미 Low-end를 제거하기 편한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 때, 밴드가 Low shelf나 High-Pass Filter로 설정되지는 않았는지 한번 확인해주자. 볼륨을 부드럽게 감소시키는 편이 좋기 때문이다.

 

+) 본문에서는 "roll-off"가 지원되는 플러그인(Logic pro에서 기본 지원하는 EQ툴)이므로 그냥 Roll-Off 있으면 그거 쓰세여~~ 라고 나와있지만, 그게 없는 경우에는 그냥 Low shelf로 해주어도 무관할 듯 하다.

 

 <시작 세팅>

 센터 주파수를 90 Hz영역대로 잡고, 24dB의 기울기로 적용해보자. Q를 0.71로 적용한다면, 90Hz 근방의 영역대가 부스트되지 않을 것이다. 이후 센터 주파수를 조금씩 바꿔보면서, 가장 이상적인 상황을 찾아보자.

1번 밴드

2) 먹먹함을 줄이자.

 

 여러분이 방 세팅을 어떻게 했던간에, 200~500Hz의 구간에 약간의 "먹먹함"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보컬 하나만 들어서는 크게 체감되지 않을 수 있으나, 5~30개 이상의 다른 트랙들과 같이 들어보면 느껴질 것이다.

 

 먹먹함은, 녹음하는 환경이 실내의 작은 방이므로 소리가 벽면 이곳 저곳에 반사되기 때문에 생긴다. 작은 방은 언제나 이 영역대(200~500Hz 구간)을 증폭시킨다. 우리는 이 영역대를 살짝 줄일 것인데, 이 부분은 여러분들의 녹음 환경에 따라 조금씩 바뀔 수 있다.

3번 밴드

 이 영역대의 볼륨을 컷 할것인데, Q를 넓게 잡아서 자연스럽게 줄여줄 것이다. 한 가지 언급하고 싶은 점은, 해당 영역대를 완전히 밀어버리고 싶은 경우가 아니라면 6dB 이상으로 컷/부스트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그 이상으로 소리를 조정하려 한다면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소리가 날 것이다. 6dB 이내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라면, 녹음을 다시 하는 것이 맞다.

 

 <시작 세팅>

 여러분이 일반적인 가정의 방에서 녹음한다고 가정한다면, 반드시 250Hz 부근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Q를 0.7로 잡되, 만약 문제가 되는 부분을 더 확실히 잡았다면 Q를 1.2까지 올려보자. 3~5dB정도만 컷 해주면 된다.

 

3) 현장감 추가

 

 이제, 고주파수역대를 살짝 건드려서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뤄보자. 우선, 우리는 약간의 '현장감'을 추가할 것이다. 동시에, 아주 높은 주파수영역대를 모두 없애버릴 것이다.

6,7번 밴드

 위 이미지에서, 가장 우측의 밴드는 High-end roll off로 설정되어있고, 바로 그 왼쪽의 밴드는 High-shelf로 설정되어있다. 우리는 둘 다 사용할 것이다. 우리는 Shelf를 이용해 High 부분을 모두 부스트 해줌과 동시에, Roll-off으로 필요 이상의 고주파영역대를 모두 지워버릴 것이다.

 

 여기서, 굉장히 세심한 작업이 필요하다. 너무 많이 부스트를 한다면 소리가 '날카로워지는(열화되는)' 느낌이 들어 듣기 거슬리는 소리가 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Roll-off 대신 그냥 High shelf 하나 더 갖다 썼다. 어차피 목적만 같으면 상관 없으니.

 

 <시작 세팅>

 High-shelf 밴드를 8kHz 부근에서 시작하되, 1~1.5 dB정도만 부스트하자. High roll-off는 18kHz 부근에서 24dB/Oct의 slope로 컷 해주자 (Q는 0.70이다). 우리의 목적은 심벌즈 등이 삐져나올 공간을 위해 High 영역대를 확보함에 있다.

 

4) 존재감 추가

 

 대부분의 보컬리스트들에게 있어, 4~5kHz는 "존재감^"의 영역대이다. 이 영역대가 잘 살아있으면 소리가 뭉개지지 않고 더욱 명확하게 들리게 된다.

 이 부분은 Harmonic frequency, 즉 가장 중요한 근음(fundamental)에 쌓아 올려진 배음들이다. 이 영역대를 좁은 Q로 잡고, 분위기에 가장 알맞을 정도로 수정해주자.

새로운 EQ 하나 더 깔았다. 6번 토큰 확인.

 다른 악기들을 EQing 할 때, 반대로 이 영역대를 살짝 컷 해서 보컬의 자리를 마련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현장감 = airy, 얼마나 현장감이 있는가? / 존재감 = presence, 악기가 얼마나 전면부에 나와있는가?

 

 <시작 세팅>

 5kHz에서 시작하되, 가장 어울리는 지점이 4kHz에 있을 수도, 5.5kHz에 있을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2.80Q에 2.5dB의 부스트면 좋을 것이다. 여러분의 결과물에 맞춰가며 설정하자.

 

5) Core vocal Frequencies 강조

5번 토큰. 막상 하고 나니까 굳이 해야하나 싶어서 뺐다.

 꼭 필요한 부분은 아니므로, 필요하다고 판단 되면 하자. 때로, Core frequencies를 강조하는 것은 보컬 퀄리티를 바꿔놓을 수 있다.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정도는 다르겠지만, 이 영역대는 거의 비슷하다.

 다른 글에서, 남성/여성 보컬의 차이점에 대해서 다루겠지만, 일단 1~2kHz 영역대에 보컬의 Core Frequency가 있음을 알아두자. 약간의 부스팅이 있다면, 음이 더 또렷하게 들릴 것이다.

 

 

 <시작 세팅>

  꽤 넓은 Q를 사용하자(1.20). 1~2kHz 중, 가장 괜찮게 들리는 구간을 센터 프리퀀시로 설정하자. 필자는 2dB정도 부스트/컷 해주며, 이 이상으로 건드려줄 필요는 없을 것이다.

 

6) 디-에서 (De-esser)를 이용하여 파찰음 잡기

 

 마지막 단계는 발음 과정에서 생기는 '파찰음^' 잡기이다. 파찰음은 S, T등을 발음할 때 들리는 소리이며, 우리 귀가 듣는 것 보다 강렬한 소리이다. 물론, EQ로도 이 소리들을 잡을 수는 있지만, 전 구간에 걸쳐 존재하는 파찰음들을 잡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필자는 de-esser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디-에서는 타겟 주파수대가 '일정 크기 이상의 볼륨'을 가질 때에만 작동한다.

 

^ 파찰음 : ㅍㅌㅋㅊ, ㅅㅆ 등의 소리

(+ 디-에서는 사이드 체인과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EQ로, 목표 수준(스레숄드) 이상의 input signal이 통과할 때에만 EQ가 작동하는 원리이다. 즉, 언제나 모든 순간에 해당 밴드의 주파수를 컷 하는 것이 아닌, 스레숄드를 이용해 필요한 순간에만 컷 할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그것도 자동으로) 플러그인이다.)

 

 보통 5~8kHz 영역대에 위치하여 있으며, 보컬리스트의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Q를 매우 좁게 하여 해당 지점(거슬리는 소리)을 찾아내고, 그 영역을 de-esser로 다듬자.

 

 <시작 세팅>

  문제가 되는 지점을 찾았다면, de-esser에서 해당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설정해주자. 스레숄드(Threshold)를 -25~-30dB로 잡고, 게인 리덕션(gain reduction)을 -10~-15dB정도로 설정해주자. 너무 과도할 경우에는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니 주의.

 

Best EQ Settings for vocals

 이제, 위 과정을 거친 결과물을 보여주고자 한다. 각 과정을 굳이 서로 다른 EQ 플러그인으로 세팅해줄 필요는 없다.(+애초에 본인도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두 번으로 나누었을 뿐, 하나의  EQ 플러그인에 다 때려박아도 무관하다) 처음 5개의 단계를 거친 결과물은 아래 사진과 같을 것이다. 대충, 이런 모습을 여러분의 보컬 이퀄라이징의 시작점으로 잡으면 될 것이다.

 

원 게시글 펌

 요약하자면, 일반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90Hz 이하의 영역대 컷 >> Low-end 없애기

2. 250Hz 부근 컷 >> 먹먹함 줄이기

3. High-shelf (9kHz), High roll off (18kHz~) >> 현장감 부여 + 공간 확보

4. 5 kHz 살짝 부스트 >> 존재감 확보

5. 1~2kHz 부근 부스트 >> 보컬의 가장 중심이 되는 영역

6. 5~8kHz 중, 파찰음 제거 >> 디에서 사용하면 더 좋음

 

 이상이 대략적인 튜토리얼이며, 여러분들이 Q를 이용하는 방법, 얼마나 부스트 혹은 컷을 할 지를 알게 될 때 까지 살펴보면 좋을 것이다. 위 사항은 어떤 보컬 트랙에 적용해도 괜찮을 것이며, 물론 세부 사항은 곡마다 다르게 적용해야할 것이다.

 

EQ Frequency Range characteristics

 

 보컬 EQ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대를 그 특성에 따라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경계가 모호한 구간도 있기는 하지만, 아래를 참고하면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Low-end Noise : 20~80 Hz

Boominess : 80~300Hz

Muddiness : 250~500Hz

Nasal Honk : 0.8~1.5kHz

Presence : 4.5~9kHz

Breathiness : 10~15kHz

 

 이상의 단어들에 대한 다른 표현도 존재할 것이고, 여러분이 그렇게 인식해도 전혀 상관 없다. 그러나 여러 표현들에 익숙해져야,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현을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이다. 즉, "breathiness"는 "air"나 "presence", "clarity", 어쩔 때는 "Boxiness" 등으로 불린다는 사실을 기억해두자.

 

How to EQ Vocals professionally : Conclusion

 보시다싶이, 생각보다 쉽다. 물론, 상황에 따라 얼마나 컷/부스트를 해야할지, 센터 프리퀀시를 어디로 잡아야할지는 여러분의 판단에 달려있지만, 이 여섯 가지의 방법이 프로젝트의 시작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이 내용들을 100%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80%정도는 이해했을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여러 차례 실전을 겪으면, 여러분은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할 만한 자료들 ::

 

 

728x90
반응형